
프라사드는 또한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의 선임 연구원으로 국제 경제학 신세기(New Century Chair) 의장을 맡고 있으며 전미 경제연구소(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의 연구원이다. 그는 이전에 국제통화기금(IMF) 리서치 부서의 금융 연구 부서장과 IMF의 중국 부서장을 역임했다.
그는 암호화폐는 특히 투자자 보호가 부족한 대규모의 규제되지 않은 금융 시스템을 생성하는 경우 통화 및 금융 불안정에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의 성명은 최근 IMF가 발행한 암호화폐의 인기 상승이 금융 안정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 보고서를 반영한 것이다.
더욱이, 존 쿤리프(Jon Cunliffe) 영국의 중앙은행 영란은행 부총재가 이번 주 암호화 산업이 너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규제가 시급하며 위험이 현재 제한되어 있더라도 미래의 안정성과 국가 재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생각할 몇 가지 ‘매우 합당한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암호화폐 및 관련 상품에 대한 투자에서 발생하는 모든 재정적 위험은 순진한 개인 투자자에게 특히 큰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에 대해서도 “나는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가 미래의 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모든 중앙은행은 돈이 불법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하여 거래를 감사하고 추적할 수 있기를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프라사드는 “커피 한 잔이나 샌드위치를 포함하여 결제하는 모든 비용이 정부 기관에서 볼 수 있다면 불편한 제안이다”라고 말하며 “좀 더 디스토피아적인 세상에서는 정부가 정부의 돈을 사용할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하게 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