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 지난해 말 대비 기업대출 잔액 8.01% 증가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은 9월 말 기준 621조 7423억 원이다. 지난해 말 대비 8.01% 늘었다. 가계 대출 증가액도 지난해 말 24조 7174억 원에서 9월 말에는 두 배에 달하는 46조 1140억 원 늘었다.
중소기업·자영업자 대출 증가 분도 43조 3686억 원에 달했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기업 대출이 3.5% 늘어나는 동안 코로나19 피해에 취약한 중소기업 대출은 8.7% 늘었다. 코로나19로 피해 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대출원금·이자상환 유예 조치는 지난달 말 추가로 6개월 연장됐다. 반면, 가계 대출에 대해선 정부의 규제가 한층 더 강화됐다. 더욱 강화된 가계 대출 수요 억제 책 때문에 자금의 물줄기를 기업 금융으로 돌리려는 은행들의 노력도 활발하다. 가계대출 총량이 목표치를 넘어서면서 최근 부동산 담보대출 등을 중단한 농협 은행과 전통적으로 가계대출 비중이 높았던 국민 은행까지 사활을 걸고 기업 고객 유치 전에 뛰어들고 있다.
은행권이 지난해 국제 자본 관리 규약을 조기 도입한 만큼 국민, 신한, 우리, 농협 등 은행권은 연말까지 전체 대출 중 기업대출 비중을 51~57%선에 맞춰야 한다. 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많은 연말을 앞두고 이들 은행 간 대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계속 연장되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은행의 건전성은 역대 최고로 좋다. 하지만 이대로 대출이 나가도 되는지 우려가 된다"고 털어놨다. 실제 국내 은행들의 상반기 부실 채권 비율은 0.54%로 지난해 동기(0.71%) 대비 크게 낮다.
은행의 또 다른 기능인 기업·산업에 대한 부실 평가도 유예 됐다.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은행의 기업대출 증가율과 명목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비슷하다. 2018년부터는 대출 증가율에 비해 GDP 증가율이 낮아지면서 괴리도 커졌다. 지난해의 경우 GDP 증가율은 0.4%인데 기업대출 증가율은 12.6%였다.
한국금융연구원 관계자는 "경기 사이클이 개선되지 않았지만 기업 대출은 더욱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며 "재무제표를 공시하는 2500여 개 기업 중 이자 보상 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이 1000개에 달하고, 은행 신규 대출액의 30%가 한계 기업에 흘러드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