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속보] 미국 CPI 또 폭발 인플레 물가 쇼크, 뉴욕증시 비트코인 강타 " 9월" 테이퍼링

공유
2

[속보] 미국 CPI 또 폭발 인플레 물가 쇼크, 뉴욕증시 비트코인 강타 " 9월" 테이퍼링

미국 뉴욕증시 모습 물가지수 CPI,가 나스닥 다우지수와 국제유가 그리고 코스피 코스닥에 변수가 되고있다.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모습 물가지수 CPI,가 나스닥 다우지수와 국제유가 그리고 코스피 코스닥에 변수가 되고있다.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 즉 CPI가 또 큰폭으로 올랐다. CPI 폭발로 인플레 공포가 밀어 닥치면서 연준 FOMC 테이퍼링 "조기 단행" 주장이 탄력을 받고 있다. 9월 FOMC 조기 테이퍼링으로 미국 뉴욕증시 나스닥 다우지수에 또 비상이 걸렸다.

14일 뉴욕 증시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6월과 7월에 이어 또 다시 고공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노동부의 7월 CPI는 전년 동기 5.3% 상승했다. 올 들어 CPI는 급격한 오름세를 보였다. 3월에 전년 대비 2.6% 올랐던 CPI는 4월에 4.2%, 5월 5.0%에 그리고 6월에는 5.4%까지 치솟았다.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조기 테이퍼링을 지지하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평균 2% 이상의 물가 상승률과 충분한 고용 회복이 이뤄질 경우 통화정책 방향을 긴축으로 선회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미국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지난 뒤에도 상당 기간 강세가 이어질 경우 연준의 긴축 개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5.4% 올랐다. 7월 CPI는 지난 2008년 8월 이후 13년 만에 최대폭이었던 지난 6월 CPI(5.4%)와 같다. 이같은 7월 CPI에 대해 전월 대비 전체 상승률(0.5%)은 경제학자들의 예상과 정확히 일치한 것이다. 다만 근원 CPI는 예상치를 밑돌았다고 보도했다. 7월 근원 CPI는 전월보다 0.3%, 전년 대비 4.3% 상승했다. 지난 6월 0.9%, 4.5%에서 각각 하락한 수치다. 앞서 6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기준 199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인플레는 테이퍼링의 여론을 확산시키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은 조기 테이퍼링 시행 필요성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공급 차질과 수요 급증에 직면한 기업들은 비용 압박이 가중되면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인상해 왔으나 경기 회복과 연계한 가격 급등세의 일부 흐름은 꺾이기 시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테이퍼링의 정책에 대해서는 연준 의장이 인플레이션 상승이 궁극적으로 일시적일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공급 차질 현상이 언제쯤 완화될 수 있을지는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뉴욕증시는 혼조세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 지수와 S&P500 지수는 오르고 나스닥 지수는 떨어졌다.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전화 통화를 호재로 한때 상승했으나 구글 애플 발 악재등이 변수가 되고 있다. 애플 주가는 법원이 애플 앱스토어가 아닌 인앱 결제를 금지하는 것이 반(反)경쟁적 조치라고 판결했다는 소식에 한때 추락하며 150달러 선이 무너졌다. 애플은 인앱 결제를 통해 애플 스토어 매출의 30%를 수수료로 챙겨왔다. 애플이 인앱 결제를 회피했다는 이유로 에픽게임즈의 게임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하자 에픽이 이에 맞서 소송을 제기했다. EA, 액티비전 블리자드 등 게임 업체들은 애플 판결 효과로 강세를 보였다. 징가, 로블록스, 앨러빈 등도 일제히 상승했다.

생산자물가지수도 고공 행진이 이어졌다.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7% 올라, 시장의 예상치인 0.6% 상승을 웃돌았다. 다만 7월에 기록한 1.0% 상승보다는 둔화했다.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8월 근원 PPI는 전월 대비 0.6% 올랐다. 시장의 예상치는 0.5% 상승이었다.

생산자물가는 전년 대비로는 8.3% 올라 2010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계속되는 가운데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날 Fed 위원들이 오는 21~22일에 열리는 9월 FOMC 회의에서 11월에 자산매입축소(테이퍼링)를 시작하기 위한 합의에 노력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였다. WSJ은 Fed 위원들의 최근 발언을 근거로 이같이 예상했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