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증시 대신 인도증시로 돈 몰린다…조마토 IPO, 페이티엠 상장 11월 등 활발

공유
1

중국증시 대신 인도증시로 돈 몰린다…조마토 IPO, 페이티엠 상장 11월 등 활발

휴대폰에 표시된 음식 배달 앱 조마토의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휴대폰에 표시된 음식 배달 앱 조마토의 로고 사진=로이터
투자자들이 중국 기술주를 매도할 때 더 많은 돈들이 인도 스타트업에 투자되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음식 배달 앱 조마토의 주가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인도 국립증권거래소에 데뷔한 후 82%나 급등했다. 초기 공모 가격은 주당 76루피 또는 주당 1달러보다 약간 높다. 주식은 약 9100억 루피 또는 122억 달러로 가치가 50% 이상 높아졌다.
코탁 투자 은행의 자야산카르 벤카타라만 주식자본시장책임자는 거래가 시작되기 전에 기업 공개(IPO)가 기관과 개인 투자자를 위해 과도하게 청약되었다고 말했다.

인도 인터넷 펀드의 창립 파트너인 아니루드 수리는 "조마토의 성공적인 IPO가 수문을 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리는 인도 전역에서 20개의 스타트업에 투자했다.

기술 대기업 우버는 작년에 조마토에 인도 음식 배달 사업을 매각하여 미국 회사에 지분을 주었다. 조마토의 다른 저명한 투자자에는 인도 인터넷 회사 인포 엣지, 알리바바 계열사 앤트그룹과 싱가포르 국영 투자자 테마섹이 있다.

소식통은 CNBC에 조마토가 인도 상장 이후 미국에서 데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다음으로 상장할 회사에 대해 수리는 일본의 소프트뱅크, 앤트 그룹, 버크셔 해서웨이를 후원하는 페이티엠에 베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 결제 회사 페이티엠은 최근 IPO 서류를 제출하여 올해 11월에 공개적으로 22억 달러를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벤처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인도 스타트업은 올해 첫 6개월 동안 121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53억 달러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벤처 캐피털 회사 IVP의 제너럴 파트너인 소메시 대시는 중국이 더 이상 최고의 성장 스토리를 갖고 있지 않다는 생각에 투자자들이 깨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는 젊은이가 많지 않다. 인도 경제가 보여주는 것은 증가하는 중산층과 역동적인 노동력이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인구 중 하나이다.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매력적이다.”라고 대시는 말했다.

상장지수펀드 회사인 넥스트핀의 아미트 아난드 공동 창업자는 인터넷 보급률 증가를 인용하면서 인도의 기술 IPO가 중국 기업에 비해 프리미엄 배수로 가격이 책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자들은 인터넷 보급의 긴 활주로를 인식하고 있다. 인도의 전자상거래 보급률은 중국의 25%에 비해 7%이다. 인도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약 30%로 중국 60%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라고 액시얼 캐피털에 근무한 아난드는 말했다.

“투자자들은 이런 사람들이 노동에 투입되면서 더 많은 소비를 하고 신용카드, 모기지, 자동차 대출과 같은 금융 상품이 필요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이것이 전자상거래와 핀테크 회사가 인도에서 벤처 캐피탈 투자의 주요 대상이 된 이유다."라고 아난드는 말했다.

인도에서 더 많은 기술 회사가 상장되면서 그는 이제 인도 기술 주식에 중점을 둔 ETF를 출시할 계획이다.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는 기업인 일부 유니콘 기업은 인도 기술에 대한 강한 관심을 활용하여 계속해서 추가 라운드를 유치하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후원하는 호텔 스타트업 오요(Oyo)는 추가로 6억6000만 달러를 조달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플립카트(Flipkart)는 36억 달러를 조달해 376억 달러의 최고 가치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인도 기업의 최대 자금 조달이다. 주요 투자자로는 캐나다연금계획투자위원회와 월마트가 있다.

중국과 마찬가지로 인도에도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존재한다. 지난 주 인도 규제 당국은 데이터 개인 정보보호 규칙을 준수하지 않아 마스터카드가 국내 고객에게 새로운 신용 카드를 발급하는 것을 금지했다.

벤처 투자자들이 하려고 하는 핵심 질문은 인도 정부가 규제나 해외 상장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인도 정부가 독자적인 길을 개척할 것인지 아니면 중국의 주도를 따를 것인지가 관건이다.


박찬옥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opak21@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