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양자 입자 활용한 신개념 레이저 개발

공유
0

KAIST, 양자 입자 활용한 신개념 레이저 개발

정육각형 마이크로 막대 공진기 구조에서 생성된 상온 플라리톤 기반의 시공간 대칭 시스템 개념도.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정육각형 마이크로 막대 공진기 구조에서 생성된 상온 플라리톤 기반의 시공간 대칭 시스템 개념도. 사진=KAIST
KAIST는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팀이 머리카락 굵기보다 100배 얇은 정육각형 모양의 반도체 막대 구조 안에서 상호작용이 높은 양자 입자를 생성해 손실이 커질수록 발광 성능이 좋아지는 신개념의 시공간 대칭성 레이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시공간 대칭성 레이저는 향후 고효율의 레이저 소자부터 양자 광소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떠한 물리 시스템에서든 손실(loss)은 가능한 제거 하거나 극복해야 하는 대상으로 존재해왔다. 따라서 이득이 필요한 레이저 시스템에서 손실이 있는 경우에는 작동에 필요한 최소 에너지(문턱 에너지)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므로 손실은 가능한 줄여야 하는 대상이었다.

하지만 양자역학에서 존재하는 시공간 대칭성과 붕괴 개념을 수학적인 유사성을 통해 광학 시스템에 적용하게 되면 오히려 손실을 작동에 유익한 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는 독특한 광학 시스템이 탄생하게 된다.

조용훈 교수 연구팀은 빛과는 달리 상호작용이 높은 폴라리톤을 이용해 단 한 개의 정육각형 마이크로 공진기 안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모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했다.

육각 대칭성을 갖는 단일 공진기 내부에는 에너지가 동일하면서 정삼각형 및 역삼각형 형태의 경로를 갖는 두 개의 빛의 모드가 상호작용 없이 존재하게 되는데 빛 대신 폴라리톤을 이용하면 엑시톤을 매개로 두 개의 모드 사이에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에 연구팀은 착안했다.

이 중 역삼각형 모드에 대해서만 손실 크기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나비넥타이 모양으로 홈이 파여진 기판과 결합했는데 이를 통해 손실이 증가할수록 작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도리어 더 작아진다는 특이한 결과를 상온에서 관측하고 그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했다.

이와 같은 시공간 대칭성을 적용한 시스템은 제거하거나 극복해야 하는 대상이었던 손실을 오히려 이용해서 결과적으로 이득이 될 수 있게 해 주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이 플랫폼을 이용해서 레이저 발진 에너지를 낮추거나 비선형 광소자 및 민감한 광센서 같은 고전적인 광소자뿐 아니라 빛의 방향성을 제어할 수 있는 비가역적인 소자, 그리고 초유체 기반의 집적회로 양자 광소자에 응용될 수 있다.
조용훈 교수는 "폴라리톤이라는 양자 입자를 이용한 신개념 단일 마이크로 공진기 플랫폼으로서 복잡한 저온 장치 없이 시공간 대칭성과 관련된 기초연구의 문턱을 낮출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상온에서 작동할 수 있으면서도 손실을 이용한 다양한 양자 광소자로 활용되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KAIST 물리학과 송현규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과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포토닉스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 10일 자에 온라인 출간됐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