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 , 2008년 이후 높은 5% 상승률 기록

공유
4

미국 5월 소비자물가지수 , 2008년 이후 높은 5% 상승률 기록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8년 만에 최고치인 4.7%를 기록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28년 만에 최고치인 4.7%를 기록했다. 사진=로이터
미국 인플레이션이 심상치 않다. 5월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008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자산매입 축소를 통한 유동성 공급 감소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데 점점 더 많은 무게게 실리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10일(현지시각) 5월 CPI가 1년 전에 비해 5% 오르면서 근 13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CPI는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5월 5.3% 상승하면서 역대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같은 상승률은 다우존스가 설문조사한 전문가들 예상치 4.7%를 웃도는 것이라고 CNBC가 이날 보도했다.

다우존스에 따르면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에 대한 시장 전망치는 전년 대비 3.5%나 올랐다. 이는 28년 만에 가장 빠른 상승 속도다. 경제학자들은 5월에 근원 CPI와 전체 CPI가 모두 0.5%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반 CPI는 4.7%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08년 에너지 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그랜드 쏜튼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다이앤 스웡크는 “여름에 5%까지 상승할 수 있도 있다"면서 "최악의 인플레이션은 헤드라인 CPI 측면에서 2분기가 될 것이다. 항공료부터 호텔까지 모든 것에 대한 가격 급등으로 인해 뜨거운 여름이 계속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

무디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크 잰디는 5월 근원 CPI가 0.6%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간 상승률은 3.65%가 될 것"이라면서 "이렇게 높은 것은 1992년 7월 이후 처음이다"고 말했다. 코어 CPI가 기대치인 3.5%를 상회한 것은 1993년 2월이었다.

스웡크는 헤드라인 CPI가 매년 4.9%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근원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 전년 동기 대비 3%로 지난 20년 동안 드물었던 수준이다. 그녀는 주택 임대료의 인상을 우려한다. "주택은 CPI의 30% 이상이며 일부 도시에서는 임대료가 바닥을 쳤다"고 지적했다.
CPI 상승률은 2008~2009년 금융위기 이후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미국 중앙은행인 Fed는 일시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특히 Fed의 연간 물가관리목표는 2% 지만 목표치 2% 전후까지 평균 범위의 인플레이션은 용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부 전략가들은 Fed가 8월 말에 논의를 시작해 연말이나 내년 초부터 채권 매입을 서서히 줄이면서 통화를 조절할 것으로 예상한다. Fed가 금리를 인상하기 전에 상당 기간 채권 매입을 서서히 줄일 것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시장 전문가들은 Fed가 2023년 이전까지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

웰스파고는 보고서에서 "항공료, 호텔, 행사 입장료 모두 큰 폭의 가격 인상을 기록했고, 이들이 4월 CPI 상승에 기여했다"면서 "그러나 이들은 단지 지난해의 하락세를 회복하고 있을 뿐이며, 연준은 가격이 계속 상승해도 동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경제 전문가들은 줄곧 오르고 있는 임금을 주의 깊게 주시하고 있다. 5월 추가된 일자리 55만9000개는 예상보다 적었지만, 연방정부의 실업급여가 바닥나고 학교가 개교해 학부모들이 직장에 복귀할 수 있게 되는 9월이 다가오면서 채용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주식 시장의 경우,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은 양호하며, 특히 기업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너무 뜨거워지지 않는다는 전제가 붙는다.

라자드자산운용의 론 템플 주식부문 대표는 "단기간의 평가로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 것에 불과할지에 대해 아무 것도 말해주지 않는다"면서 “가격 상승이 일시적인 것인지 아닌지가 분명해지기까지는 몇 달이 더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