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연계대출로 1·2금융 장벽 허물어진 금융권

글로벌이코노믹

연계대출로 1·2금융 장벽 허물어진 금융권

대출이 어려운 고객에게 다른 금융사의 대출 상품을 연결해 주는 연계대출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1·2금융권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대출이 어려운 고객에게 다른 금융사의 대출 상품을 연결해 주는 연계대출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1·2금융권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대출이 어려운 고객에게 다른 금융사의 대출 상품을 연결해 주는 연계대출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1·2금융권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북은행은 이달 중 저축은행중앙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창구 내에서 저축은행 상품을 판매한다. 현재 40여 곳에 이르는 저축은행이 중앙회에 참가 의사를 밝혔다.

연계대출의 신호탄을 쏜 곳은 인터넷은행이다.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는 카드·캐피털사·저축은행 14곳과 제휴를 맺고 연계대출을 하고 있다. 카뱅은 연계대출 대상을 추가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카뱅의 올해 4월 말 기준 누적 대출금액은 2조 7100억 원(21만 2000건)이다. 카뱅 측은 "2금융권 입장에서도 고객을 늘릴 수 있고 모집 수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케이뱅크의 경우 지난 2월부터 2금융권들과 제휴해 연계대출을 시작했다. DGB캐피탈, 하나캐피탈, JT친애저축은행, 신한저축은행, 유진저축은행 등 4개사와 서비스를 시작한 후 4월 말부터 BC카드, 우리카드, SBI저축은행 등 3사와 추가 제휴를 맺었다.

핀테크 기업들도 연계대출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카카오페이와 토스 등은 30여 개 금융사의 대출 상품을 소개하고 있고, 올해 하반기부터는 대환대출 서비스까지 나설 구상이다.

사정이 이렇자 기존 금융지주들도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 일환으로 금융지주사들은 시중은행, 저축은행, 캐피털 등 계열 금융사끼리 연계대출을 진행하던 데서 벗어나 타 금융사로 점차 확대해나가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강력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핀테크가 등장한 가운데 자사 상품만 판매해서는 소매금융시장에서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며 "조만간 기존 금융사들도 서로의 상품을 판매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