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천 파이파이왕 투자운용은 1만5000개의 펀드가 지난해 평균 30%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가장 실적이 좋은 펀드는 10배나 급증했다고 블룸버그가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 수치는 전 세계 헤지펀드의 평균 수익 12%를 압도한 수치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와 투 시그마 같은 글로벌 펀드는 4년 전 외국 기업에 개방한 이후 중국의 3조8000억위안(7839억싱가포르달러)의 헤지펀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지난해 1조3000억 위안(2680억싱가포르 달러)의 자산을 추가했다.
많은 글로벌 펀드는 중국의 잠재적 부를 감안해 ‘인내’ 하지만, 소규모 펀드는 규제를 가중시켜 ‘자신을 구분하기 어렵다’ 는 것이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 상황에서 중국의 초기 경제 회복은 주식과 상품의 랠리를 촉진해 파이파이왕이 추적한 8가지 헤지펀드 전략 모두에서 수익을 높였다. 자산군 간에 거래되는 매크로 펀드는 전 세계 평균인 10%에 비해 평균 41%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중국 헤지펀드 시장에 영업권을 가진 32개 외국 기업 중 UBS그룹과 윈튼그룹 만이 국내 민간 펀드 사업에서 20억위안 이상을 벌었는데 이는 채권과 거시 전략에 중요한 은행간 채권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핵심 조건이라고 옌은 말했다.
작은 규모의 펀드는 신규 고객의 주요 창구인 은행으로부터 유치를 어렵게 만든다고 옌은 덧붙였다.
리카이닷컴에 따르면 자산이 100억위안 이상인 현지 헤지펀드 회사의 수는 작년에 두 배 이상 증가한 63개로 늘어났다.
차이나펀드에 따르면 지난해 가장 큰 4개의 펀드가 3배로 자산을 늘린 계량적 투자 모델인 퀀트펀드 성장이 가장 인상적이다.
헝텐 자산관리리서치 책임자 류 케는 "상위 10%가 대부분을 흡수하면서 가장 큰 플레이어에게 돈이 모인다. 이런 추세는 가속화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상하이 밍홍투자관리 창업자 추 후이밍은 "외국 유명 펀드들이 전 세계적으로 더 강력한 지명을 가지고 있지만 지난 2년 동안 중국 퀀트펀드들이 지금까지 우위를 점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밍홍의 자산은 작년에 두 배 늘어나 약 600억위안으로 중국 최대 퀀트펀드가 됐다.
"단기적으로 성공이 결정되는 게임은 아니다. 정책이 더욱 완화됨에 따라 외국 펀드들의 우위가 점차 드러날 수 있다""라고 옌은 말했다
박찬옥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copak21@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