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지 새로운 석유‧가스 광구의 시추권 허가 중지 및 화석연료 보조금 폐지도

기후변화 대응을 미국 외교와 국가안전보장의 기둥으로 삼는 대통령령에도 서명했다. 화석연료를 중시하면서 환경규제를 완화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으로부터 노선을 크게 바꾼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후를 둘러싼 위기에 대처하기 까지 시간이 지나치게 걸린다고 느끼고 있다”면서 “소규모 조치를 실시할 때가 아니다. 대담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기후변화에의 답변을 생각할 때 내 머리를 스친 것은 고용”이라면서 최신이면서 탄력성 있는 기후관련 인프라 정비와 그린에너지 추진으로 보수가 높고 노조의 보호를 받는 수백만개의 고용창출로 이어질 것이라는 인식을 드러냈다.
또한 2030년까지 야생동물의 보호를 위한 국유지‧수역의 30% 보존과 재생가능한 에너지 산출량을 두배로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후변화담당 존 케리 대통령특사는 온실효과 가스배출량 문제를 둘러싸고 미국이 중국과 협력할 의사를 나타내면서도 이 문제를 진전시키기 위해 다른 주요현안에서 흥정을 벌이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에너지대기업 헤스는 바이든 대통령의 기후변화대응이 고용과 에너지 안전보장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해야 한다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미국 민주당의 척 슈머 상원 원내대표는 기후변화에 관한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해야 한다고 바이든 대통령에게 요구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