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4~22일 전국 86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1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소기업 38.5%가 '설 자금 사정이 곤란하다'고 응답했다. 자금난 이유로는 96.1%가 ‘코로나19 영향'이라고 지목했다.
자금사정 곤란의 구체적인 원인으로 ▲판매·매출부진(89.7%) ▲원부자재 가격 상승(36.0%) ▲인건비 상승(18.4%) ▲판매대금 회수 지연(14.8%) 등이 꼽혔다.
중소기업들은 올해 설 명절에 평균 2억 1493만원의 자금이 필요하지만, 실제로 확보한 자금은 평균 1억 7700만원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필요한 설 자금 중 부족한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을 묻는 질문에 ▲납품대금 조기 회수(45.0%) ▲결제 연기(42.1%) ▲금융기관 차입(40.0%) ▲대책 없음(10.7%) 순으로 중소기업들은 언급했다.
이처럼 중소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안 좋아지면서 설 상여금을 지급 여력을 갖춘 중소기업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실제로 이번 설문조사에서 올해 설 상여금 ‘지급 예정’이라고 밝힌 중소기업들은 지난해(50.1%)보다 13.4%포인트나 줄어든 36.7%를 기록했다.
설 상여금을 지급하는 중소기업 비율이 올해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이다.
설 상여금 지급 예정인 중소기업의 비율은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8.8%, 매출액 규모 별로는 ‘10억 원 미만’ 사업장(27.0%)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상여금 지급 수준도 낮아졌다. 정액 지급시 1인당 평균 상여금은 48만 2000원으로 지난해 설(62만 4000원)과 비교해 14만 2000원이 빠져버렸다.
박선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unh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