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다이소'마저 …배송 경쟁서 성공 가능성은?

공유
0

'다이소'마저 …배송 경쟁서 성공 가능성은?

11월 23일부터 '샵다이소' 시범 운영…13개 점포에 적용
제품 주문 들어오면 인근 매장에서 상품 출고해 배송
상품 가격 대비 비싼 배달료…다이소 측 "선택의 문제"

다이소가 지난달 말부터 '샵다이소'라는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배송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배송 서비스 운영 점포는 13곳이며, 향후 수도권 중심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사진=다이소 홈페이지 공지사항이미지 확대보기
다이소가 지난달 말부터 '샵다이소'라는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배송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 배송 서비스 운영 점포는 13곳이며, 향후 수도권 중심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사진=다이소 홈페이지 공지사항
아성다이소(이하 다이소)가 ‘샵다이소(#다이소)’라는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직 정식 서비스를 오픈한 것은 아니지만 H&B 업체 ‘CJ 올리브영’, 커피프랜차이즈 ‘스타벅스’ 등 오프라인 강자들이 배달시장 공략에 나선 것과 맞물려 이목을 끌고 있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이소는 지난달 23일 홈페이지에 샵다이소 오픈 소식을 공지했다.

샵다이소는 편의점‧배달업계가 선보이고 있는 앱과 비슷한 기능으로 구성됐다. 고객이 집 인근 지역의 다이소 매장을 선택한 후 상품을 골라 주문‧결제하면 상품이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배송된다.

샵다이소는 고객이 앱에서 상품을 주문하고 원하는 매장에서 상품을 직접 찾아갈 수 있는 픽업 서비스 기능도 갖추고 있다.

전국 1350여 개 다이소 매장 중 샵다이소와 연동된 지점은 총 13곳이다. ▲매봉역점 ▲송파구청점 ▲용인민속촌점 ▲강북구청사거리점 ▲상왕십리역점 ▲동묘점 ▲대학로점 ▲명동역점 ▲교대역점 ▲장한평역점 ▲응암본점 ▲홍제역점 ▲홍대2호점이다.

배달 서비스는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면 협력 배송업체가 인근 다이소 매장에서 상품을 포장해 출고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부릉’ ‘바로고’ ‘오케이종합특송’이 배달 대행을 맡는데, 부릉과 바로고는 이륜차로 ‘빠른 배송’을 하고, 오케이종합특송은 사륜차로 일반 배송(당일배송)을 한다.

다이소는 배달 서비스를 수도권 지역에서 시범운영 한 후 앱 시스템 안정화를 거쳐 도입 범위를 차차 넓혀나간다는 계획이다.
다이소는 앞서 온라인몰인 ‘다이소몰’에서 온라인 판매와 배송을 해왔다. 그러나 운영 주체가 달라 다이소의 정식 서비스라고 할 수는 없었다. 다이소몰은 다이소의 지주사 ‘아성’의 관계사인 ㈜한웰이쇼핑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이다.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고객 접점을 확장해왔던 다이소가 배달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이소는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매출액 2조 2362억 원을 기록, 2015년 1조 원을 돌파한 뒤 4년 만에 2조 원 고지도 넘어섰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다른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고꾸라질 때도 ‘초저가’, ‘가성비’ 등을 장점으로 내세워 불황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그러나 코로나19라는 악재가 비대면 문화에 무방비인 다이소에도 치명타를 입혔고, 결국 전략을 수정한 것이다.

다이소의 도전이 성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 일부만을 온라인에서 선보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생길 수 있는 데다가, 앱 출시 초창기 단계라는 점에서 시스템도 불안정할 수 있다. 그중 가장 의심쩍은 부분이 배송비 부담에 대한 문제다.

다이소는 제품 1개당 최소 500원에서 최대 5000원인 초저가 균일가 생활용품점이다. 이번에 시범 도입된 배송 서비스의 운송료는 빠른 배송은 4000원, 일반배송은 2000원이다. 샵다이소에서 1000원대 물품을 구매하려는 고객은 제품보다 더 비싼 배달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에 대해 다이소 측은 “오히려 하나의 상품을 주문하면서 다른 상품도 같이 구매하게끔 하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본다”면서 “상품을 조금 사는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배달료에 부담을 느낄 수 있지만, 배달료에 대한 내용을 이미 공지했기 때문에 문제없다고 본다. 모든 건 소비자의 선택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