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현지시간) 미 상무부에 따르면 10월 미 소매매출은 0.3% 증가하는데 그쳐 5월 소매회복세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9월 증가폭 1.6%의 5분의1 수준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기대했던 추가 경기부양안이 차기 행정부로 넘어가게 된데 따른 반작용이다.
럽키는 "연방준비제도(연준) 관계자들도 뭔가 더 해야만 한다는 얘기들을 하고 있고, 오늘 (소매매출) 데이터는 이같은 생각을 현실로 바꾸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소매매출은 시장 예상보다 회복 둔화폭이 더 컸다. 시장 예상치인 0.5% 증가 예상에도 못미쳤다.
코로나19 팬데믹 재확산으로 소비자들이 잔뜩 움츠러든데다 다시 일자리가 사라지고, 이에따라 소득이 줄어드는 가운데 정부의 추가 부양책은 감감무소식이어서 이를 상쇄할만한 요인이 없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의회에 팬데믹 구제를 위한 경기부양안 마련을 촉구했지만 내년 1월 20일 새 행정부가 들어설때까지 경기부양안이 나오기는 어럽게 됐다는 것이 지배적인 관측이다.
경기부양안이 조속히 나오기 어렵게 됨에 따라 연준이 추가 대응에 나설 것이란 전망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이날 미 경기회복세가 둔화되고 있다면서 경제는 재정·통화정책의 추가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말해 추가 통화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