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매각 대금 가운데 '상당분'은 국고로 환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누가 틱톡을 인수하건 간에 인수 금액 가운데 상당분은 미 재무부에 지급돼야 한다면서 "미국이 이 협상을 가능케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로이터는 미 정부가 인수액 가운데 일부를 어떻게 지급받게 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부동산업자 출신인 트럼프는 틱톡과 미국의 관계를 세입자와 건물주의 관계로 묘사했다.
그는 틱톡이 세입자 같은 것이라면서 "임대가 없으면 세입자는 아무것도 갖지 못하기 때문에 건물주에게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딱히 MS가 아니더라도 미 기업이 틱톡을 사들이면 문제를 제기하지 않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틱톡 매각은 미국내 중국 정보기술(IT) 업체들의 연쇄 매각 압박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뉴클레우스 리서치의 대니얼 엘먼 애널리스트는 틱톡 매각은 "특히 양국간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 불어닥칠 미 기업들의 중국 인터넷 기업 인수 매수 바람의 전조가 될 것"이라면서 텐센트의 위챗도 영향권에 들 것으로 예상했다.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2일 트럼프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소프트웨어들로 인해 국가안보가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에 관해 수일 안에 조처를 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틱톡과 텐센트 산하 위챗을 예로 들었다.
한편 트럼프는 이날 MS에 틱톡 지분 전부를 매수할 것을 주문했다.
그는 현재 MS가 검토하고 있는 지분 30% 인수는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면서 지분 100%를 인수하는 것이 더 쉬운 해결 방안이라고 압박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