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음성합성 기술과 요약 기술 접목…언론사 편집판 기사 요약해 음성으로 전달
운전·이동 등 활자 형태 기사 소비 어려운 상황에서 주요 기사의 핵심 내용 파악 가능
운전·이동 등 활자 형태 기사 소비 어려운 상황에서 주요 기사의 핵심 내용 파악 가능

네이버는 31일 모바일 네이버 앱 뉴스홈에서 이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용자는 구독 중인 언론사 편집판 하단의 재생 버튼을 눌러 현재 배열된 기사 요약문을 음성으로 들을 수 있다.
보이스뉴스는 그동안 네이버 뉴스 서비스의 기사 본문 페이지에서 만나볼 수 있던 '본문듣기'와 '요약봇'의 장점을 조합해 출시한 서비스다.
본문듣기는 2016년 1월부터, 요약봇은 2017년 11월부터 제공돼 왔다.
이후 네이버 뉴스 ‘본문읽기’에 적용됐던 음성 합성 기술인 'HDTS'를 통해 해당 요약 내용이 음성으로 전달된다.
현재 오상진 전 아나운서의 목소리 기반의 합성음이 적용되었으며, 추후 더욱 다양한 목소리로 확대할 예정이다.
보이스뉴스는 총 36개 매체 언론사 편집판에서 제공되고 있다. 요약 엔진이 고도화되면 더 다양한 매체 기사에 보이스 뉴스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봉석 네이버 서비스운영총괄은 “보이스뉴스 서비스를 통해, 활자 형태의 기사를 소비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이용자들도 각 언론사가 직접 선정한 주요 뉴스의 핵심 내용을 음성으로 전달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네이버는 기사가 갖는 고유의 가치를 이용자들이 더욱 편리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기술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