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우조선해양 도크에서 잠든 중국의 초대형 LNG추진 컨테이너선

공유
3

대우조선해양 도크에서 잠든 중국의 초대형 LNG추진 컨테이너선

조선업과 같은 중공업 분야의 기술 경쟁력은 정상인도(건조 원가 통제, 납기 준수)능력이다

이미지 확대보기
하나금융투자 박무현 애널리스트는 CMA CGM의 2만3000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급 LNG 추진선의 건조 9개월째 건조가 지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SCS조선이 건조하고 있는 CMA CGM의 2만3000 TEU급 LNG추진 컨테이너선 1호 선박의 인도시기는 올해 7월로 또 다시 연기됐다. 7월은 벌써 절반이나 지나갔다.

2017년 9월 CMA CGM이 최초 중국 후동중화조선과 상해와이가오조선에게 합계 9척의 초대형 LNG추진 컨테이너선을 발주했을 당시만해도 엄청난 언론 홍보를 했었다. 그러나 이 선박은 최초의 인도시기인 지난해 11월에서 9개월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도크에서 잠자고 있다.
CMA CGM의 LNG추진 컨테이너선 1호 선박이 언젠가는 인도되겠지만 인도지연이 거의 1년에 가까운 상황이므로 선주사인 CMA CGM은 운영상의 손실을 조선소 측에 전가하려 할 것이다. 이 선박의 기술적인 완성도 역시 최초 선주가 기대했던 수준이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볼 수 있다.

Gastrial 조차 시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외 조선업 기술관계자들에 의하면 이 선박은 올해 안에 정상적으로 인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은 상황이다.

조선업 경쟁의 핵심은 정상인도 능력이며 수주실적 비교는 무의미하다. 여러번 강조하지만 조선업과 같은 중공업 분야의 기술 경쟁력은 정상인도(건조 원가 통제, 납기 준수)능력에 있다.

중국 조선업은 선박 분야 기본설계능력이 없는 상황이며 CMA CMG의 LNG추진 컨테이너선의 경우 건조 과정에서 선주사의 화물창 기술타입의 변경을 요구했다. 조선소의 LNG추진 탑재 미경험 등으로 건조작업이 지연될 것은 미리부터 예고되어 왔다.

이 선박의 수주 당시 전세계 해외 언론에서는 중국 조선소의 수주실적을 강조했지만, 정작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 정상적인 인도능력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

15만 TEU급 이상 컨테이너선 역시 세계 1등은 대우조선해양이다. 170척의 15만TEU급 컨테이너선박 중 56척은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했다. 20만 TEU급의 65척 인도량 중 20척은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했다. 컨테이너선 분야에서도 대우조선해양이 가장 많은 건조 경험을 갖고 있다.
중국과 일본 조선업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수주실적은 모두 자국 선주사에게서 받은 물량이므로 한국 조선소들과 경쟁관계에 놓여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대우조선해양은 종합 조선·해양 전문회사다. 사업환경은 ▷대규모 장치산업이자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중국 등 신흥국의 후발업체들과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인한 해운 경기 불황으로 신조 가격이 하락하는 추세이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상위 업체들은 해양 플랜트, 드릴쉽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꾸준히 높이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경기변동에 따라 실적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군에 속해 있어 해운 물동량, 유가 등에 영향을 받아왔다. 동사의 주요제품은 ▷선박 : LNG선, LPG선, 컨테이너선 등 ▷해양특수선 : 해양플랜트, 드릴쉽 등으로 구성된다.

대우조선해양의 원재료는 ▷등강재,기자재,의장재 등(84.2%) ▷ 강재,기자재,의장재 등(15.7%)으로 철강제품은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에서 매입해 왔다. 대우조선해양의 ▷주요주주는 2020년 4월23일 기준 ▷한국산업은행(55.72%) ▷하나금융투자(0.35%) ▷케이비증권(0.08%) 등으로 ▷합계 56.15%다.

대우조선해양의 ▷실적은 ▷철강 가격 인상시 원가가 상승했으며 ▷해운 물동량 증가와 ▷환율 유가 상승 시 수혜를 입어왔다. 동사의 ▷재무건전성은 ▷중간등급으로 평가됐으며 ▷부채비율 179% ▷유동비율 164% ▷자산대비 차입금비중 28% ▷이자보상비배율 2배 등으로 요약된다. 진행중인 신규사업은 미공개상태다.


홍진석 글로벌이코노믹 증권전문기자 dooddall@g-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