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EAEU-베트남 FTA 체결 5년, 국내 기업이 활용할 방법은?

공유
0

EAEU-베트남 FTA 체결 5년, 국내 기업이 활용할 방법은?

- EAEU-베트남 FTA 체결 5년, 국내 기업이 활용할 방법은? -

- 2015년 5월 체결 후 베트남의 대러시아 수출 지속 증가세를 활용한 간접 수출 필요 -




EAEU는 2015년 5월 29일 베트남과 FTA를 체결하고 향후 10년 내 약 90%의 베트남 상품에 대한 무관세를 적용해 평균관세율을 기존 10%에서 1% 수준으로 낮추는데 합의했다. EAEU 국가 중 가장 교역이 큰 곳은 러시아인데 현재 EAEU - 베트남과의 교역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96% 수준으로 절대적으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당시 러시아와 베트남 양국은 FTA 체결로 2020년까지 2015년 당시 약 40억 달러였던 교역액이 약 100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실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양국 간의 교역량의 변화는 2019년 기준 약 49억 달러를 기록해 기대한 만큼의 증가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베트남의 대러시아 수출액은 2015년 약 20억 달러 규모에서 2019년 약 38억 달러로 증가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2019년도 러시아의 국가별 수입동향에서 16위 수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2015년의 21위 수준에서 5계단 상승한 것이다.

러시아의 국가별 수입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8년
2019년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수입금액
수입증감률
수지

총계
236,755
5.2
211,561.0
241,530
2.0
176,592
1
중국
52,141
9.1
3,959.0
54,005
3.6
761
2
독일
25,495
6.4
8,306.0
25,046
-1.8
2,017
3
미국
12,685
-1.0
194.0
13,389
5.5
-162
4
벨라루스
11,285
0.7
9,982.0
11,712
3.8
7,957
5
이탈리아
10,579
5.1
5,820.0
10,887
2.9
3,474
6
일본
8,815
14.3
3,750.0
8,923
1.2
2,468
7
프랑스
9,579
0.8
-1,788.0
8,572
-10.5
-2,192
8
한국
6,970
0.9
10,985.0
7,997
14.7
8,404
9
카자흐스탄
5,106
6.4
7,413.0
5,244
2.7
8,263
10
폴란드
5,136
5.3
10,855.0
5,075
-1.2
7,121
11
터키
4,199
25.0
17,461.0
4,939
17.6
16,209
12
우크라이나
5,441
11.3
4,084.0
4,802
-11.7
2,561
13
영국
4,041
0.1
5,693.0
4,023
-0.4
9,084
14
네덜란드
3,692
-4.7
39,979.0
3,981
7.8
40,900
15
인도
3,222
11.6
4,533.0
3,919
21.6
3,317
16
베트남
3,624
13.5
-1,152.0
3,783
4.4
-2,644
17
체코
3,767
10.5
1,129.0
3,695
-1.9
1,018
18
핀란드
3,374
-8.4
8,003.0
3,477
3.1
6,551
19
스페인
3,396
9.2
-1,003.0
3,318
-2.3
-746
20
스위스
2,648
19.9
2,184.0
2,873
8.5
1,203
자료: KITA

러시아-베트남 교역 동향
(단위: 백만 달러, %)
연도
수출
수입
수지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20년(2월)
120
27.5
561
7.3
-441
2019년
1,139
-53.9
3,783
4.4
-2,644
2018년
2,472
34.2
3,624
13.5
-1,152
2017년
1,842
120.7
3,192
29.5
-1,350
2016년
835
-54.5
2,465
20.6
-1,630
2015년
1,836
27.0
2,044
-10.1
-208
자료: KITA

베트남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 유망 품목은 휴대폰, 전자기기, 신발, 해산물, 즉석식품 등


Thui Chang 베트남 유럽학 연구소 산하 러시아 CIS연구센터장에 따르면 베트남의 대러시아 수출 유망 품목은 해산물, 커피, 차, 쌀, 견과류, 섬유, 휴대폰 부품, 전자제품, 의류, 농산물 등이다. 반면 러시아의 대베트남 수출 유망품목은 석유제품, 자동차, 화학제품, 광물, 생필품 등이다. 특히 커피의 경우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커피의 50% 정도가 베트남산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라면, 쌀국수 등 즉석식품류의 수출도 활발하다.

베트남의 대러시아 주요 수출 품목현황(2019)
(단위 : 달러, %)
HS
제품 그룹
2019년
수입액
비율
2018년
수입액
2019년/2018년 증감률
3
어패류
108,605,698
2.87
86,400,949
25.7
8
과실, 견과류
72,249,742
1.91
68,423,055
5.59
9
커피, 향신료
196,833,032
5.2
226,560,095
-13.12
10
곡물
10,459,161
0.28
4,873,892
114.6
20
채소, 과실의 조제품
24,762,670
0.65
28,400,701
-12.81
21
기타의 조제식료품
50,790,361
1.34
43,479,880
16.81
30
의료용품
13,143,784
0.35
7,674,360
71.27
32
염료, 안료, 페인트잉크
10,332,959
0.27
10,743,199
-3.82
37
필름인화지 사진용재료
18,154,186
0.48
15,568,641
16.61
39
플라스틱과 그제품
20,310,354
0.54
19,985,475
1.63
40
고무와 그제품
25,268,435
0.67
27,200,697
-7.1
42
가죽제품
35,629,539
0.94
32,904,203
8.28
61
의류(편물제)
148,567,000
3.93
107,147,180
38.66
62
의류(편물 제외)
274,758,860
7.26
212,748,926
29.15
63
기타섬유제품, 넝마
28,211,518
0.75
20,046,374
40.73
64
신발류
395,503,632
10.45
316,753,798
24.86
73
철강제품
19,123,200
0.51
13,394,118
42.77
84
보일러, 기계류
340,219,572
8.99
309,501,320
9.93
85
전기기기, TV, VTR
1,761,024,668
46.55
1,769,842,708
-0.5
89
선박
18,645,851
0.49
123,175,933
-84.86
90
광학, 의료, 측정, 검사, 정밀기기
32,304,390
0.85
28,094,835
14.98
94
가구류, 조명기구
18,371,475
0.49
15,778,222
16.44
95
완구, 운동용품
42,044,147
1.11
32,936,366
27.65
96
잡품
10,625,309
0.28
9,649,625
10.11
자료: Russian-trade.com


시사점


러시아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락다운 이후 경제활동 재개를 위해서 주요 기간산업을 필두로 산업생산을 다시 시작했고 6월부터 주요 상점들의 영업이 단계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기존 한국의 대러시아 수출 금액은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5월까지 26.5% 감소해 그 감소세가 크고 베트남의 경우 9.5%가 감소했는데 이는 우리나라 전체 수출 감소 11.3%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

베트남에는 2020년 기준 약 7000개 이상의 우리 기업이 진출해 있는데 베트남-EAEU 간 FTA를 활용해 베트남 진출기업들이 기존 시장뿐만 아니라 러시아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는 한국에서의 직접 수출은 아니지만 베트남 진출 기업들이 한국에서 원재료를 소싱하거나 현지에서 발생한 과실송금을 하게 되므로 우리나라 제품의 베트남을 통한 러시아로의 간접수출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러시아 수입시장의 전체적인 재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향후 가격 경쟁력이 중요하게 대두될 가능성과 홈코노미 확대에 따른 간편식, 기타 전자기기 등 새로운 분야의 수요 증가를 활용하는 것도 필요하다.


자료: Eurasia Expert,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