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세에 e스포츠 관련 VC 투자금 감소세 접어들 듯
'매출 대비 투자금 막강' e스포츠업계 자금 조달 힘들어질 가능성
'매출 대비 투자금 막강' e스포츠업계 자금 조달 힘들어질 가능성

24일(현지시간) 포브스재팬에 따르면, 벤처 캐피탈(VC) 업계는 지난 몇 년간 고공 상승했던 e스포츠 관련 투자가 이번 코로나19 여파로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주가 수익률이 하락하면서 투자 기조가 보수적으로 변한 탓이다.
미국 포브스의 2018년 e스포츠 기업 평가액 조사에 따르면, e스포츠 기업들의 사업 예산 대부분은 선수들의 인건비에 쓰이고 있다. 대다수의 e스포츠 기업들은 에비타(EBITDA, 이자·세금·감가상각비·무형자산상각비 차감 전 이익)가 적자인 상황이다. 보유 자금 대부분을 선수들 확보 비용과 브랜드 마케팅 비용에 쏟아붓기 때문이다.
e스포츠 기업들이 외부 투자금 유치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골드만삭스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e스포츠기업들은 지난 2013년 이후 총 33억 달러(약 4조 616억 원)의 투자를 받아온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e스포츠 기업들에 쏟아진 투자금은 어마어마했다. 지난해 7월 한 달간 전체 e스포츠 기업들이 확보한 투자금은 5억 5663억 달러에 달했다. 그해 11월에도 3억 4300억 달러의 투자금이 쏟아졌다.
이 같은 성장세가 올해 초 코로나19 여파로 확 수그러드는 추세라고 포브스재팬은 지적했다.
모건 플레거(Morgan Flager) 실버톤파트너스 제너럴파트너(GP)는 "(e스포츠 업계에 대한) 자금 투입 속도는 현재 빠른 속도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투자자들은 거시 경제 환경 변화 파악에 시간을 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주식시장 변동성과 주가 수익 하락은 필연적으로 민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데, 성장성을 기반으로 현금 투자에 힘쓰는 기업은 이런 상황에서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시장 평가에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VC 세쿼이아캐피탈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문제는 세계 경제의 장기적인 저성장 전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