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로나19, 수출 중심 독일 경제에 미칠 파장은?

공유
0

코로나19, 수출 중심 독일 경제에 미칠 파장은?

- 중국, 2016년 이후 독일 최대 교역국으로 자리매김 -

- 경기 회복을 기대했던 독일에 코로나19는 예상치 못한 변수로 떠올라 -



□ 중국 의존도 높은 독일 경제

ㅇ 중국은 2016년부터 독일의 최대 교역국(수출입액 합계 기준)으로 떠올랐으며, 2019년 양국의 교역액은 처음으로 2000억 유로(2057억 유로)를 돌파함.

ㅇ 중국에 진출한 독일 기업 5200여 개사는 코로나19 사태로 제품 생산, 납품 및 판매 계획에 점차 차질을 겪고 있음.

ㅇ 2019년 독일은 미-중 무역갈등, 브렉시트 등으로 인한 불안정한 세계 경제 환경 속 0%대 저조한 경제성장률(0.6%) 기록

ㅇ 2020년 1월 들어 미-중 1단계 무역협상이 타결되고 영국이 브렉시트를 이행하는 등 대외경제 불확실성이 일부 감소하면서 독일 내 경기 회복 기대감*이 높아졌으나 이번 사태로 인한 중국발 수요 감소는 수출 중심 독일 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
주*: 독일 정부는 지난 1월 2020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1%로 발표하면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음.



□ 독일 경제에 미칠 파급력 분석



ㅇ (경제성장률) 2020년 경기 회복 기대했던 독일에 예상치 못한 변수로 부상
- 2020년 1월 독일연방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독일 경제성장률은 0.6%(속보치)로 유로존 재정위기 여파에 시달렸던 2013년 이후 6년만에 0%대의 저조한 경제성장률 기록했으나 독일 정부는 경기 회복을 예상하며, 2020년 경제성장률을 1.1%로 발표함.
- 2020년 1월 미-중 1단계 무역협상 타결, 영국의 브렉시트 이행으로 대외경제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되면서 독일 내 투자심리가 개선, 독일 증시(DAX지수)는 2018년 1월 이후 2년만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함.
- 2020년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51.1p를 기록해 2019년 8월 이래 최대폭으로 개선되는 등 경기 회복 신호가 다수 감지됐음.
- 그러나 2020년 2월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확산 기미를 보이면서 경제적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독일 경제계를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음.
- 킬 세계경제연구소(IfW)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중국의 경제 둔화로 독일의 2020년 경제성장률이 0.2%p 낮아질 것이라 예상했으며 도이치방크(Deutsche Bank)도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0.2%p, 중국과 독일의 경제성장률은 0.3%p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 실제로 독일은 최근 2년새 2번(2018년 3분기, 19년 2분기)의 기술적 경기침체* 위기를 가까스로 극복했으나 경기 회복이 예상되던 2020년 1분기에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경기 전망이 어두워진 상황임.
주*: 2개 분기 연속 전 분기 대비 마이너스 경제성장

독일 분기별 GDP 성장률 추이(2015년 4분기 ~ 2019년 4분기)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독일연방통계청, Statista

ㅇ (수출) 최대 교역국 중국의 수요 감소 시 독일 수출 전선에 타격 불가피
- 2019년 기준 독일의 총 교역액은 2조4317억 유로이며 독일의 무역의존도(GDP 대비 수출입액 비중)는 약 71%, 수출의존도(GDP대비 수출액 비중)는 약 39%에 달함.
- IMF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독일은 G20 국가 중 수출의존도 2위(39.4%)*로 독일 경제에 있어 수출부진은 곧 경기 부진을 뜻함.

주*: 1위 네덜란드(63.9%), 3위 한국(37.5%), 12위 중국(18.6%), 17위 일본(14.3%), 20위 미국(8.0%)
- 특히 중국은 2016년부터 독일의 최대 교역국(수출입액 합계 기준)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9년 양국 교역액은 최초로 2000억 유로(2057억 유로)를 돌파함.
- 2019년 독일의 對중국 수출액은 960억 유로를 기록하며, 독일 수출시장의 7%를 차지함. 독일 3대 수출대상국으로서의 위상 공고화
· 1위 미국(1187억 유로/점유율 8.9%), 2위 프랑스(1068억 유로/점유율 8.0%), 4위 네덜란드(917억 유로/점유율 6.9%), 5위 영국(787억 유로/점유율 5.9%) 순이며 한국은 19위(172억 유로/점유율 1.3%)에 위치
- 2003년 사스 당시 독일의 對중국 수출액은 183억 유로에 불과했으나 2019년까지 연평균성장률(CAGR) 10.9%로 고속 성장하면서 중국의 독일 수출시장 점유율도 2.8%에서 7.0%로 크게 확대
- 따라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중국의 수입 수요감소가 독일에 미치는 영향은 2003년 사스(SARS) 사태보다 현저히 큰 상황임.
- 또한 사태 장기화로 세계 경제전반에 미치는 파급력이 커질 경우 독일 수출기업의 손실이 확대될 전망

독일의 對중국 수출액 및 교역액 추이(2015 ~ 2019년)
(단위: 십억 유로)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독일연방통계청

ㅇ (기업동향) 독일 주요 기업 對중국 매출액 의존도 높아
1) 중국 현지진출 독일 기업
- 중국 현지에 진출한 독일 기업은 약 5200개사로 추산되며, 이 중 67%가 중국에 250명 미만의 임직원을 둔 중소중견기업임.
- 다수의 기업이 중국에 생산거점을 두고 있어 공급망 차질이 가시화되고 있음.

2) 주요기업
- 독일 대표 경제전문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는 독일 상장기업 중 매출액만 계산해도 약 2000억 유로에 이른다고 강조하며, 주요기업별 對중국 매출액 비중을 분석함.

- (대기업) 독일 DAX지수*를 구성하는 30개 대기업 중 對중국 매출 비중이 20%를 상회하는 기업은 총 6개사로 독일 프리미엄 완성차 업체 3사(폭스바겐, BMW, 메르세데스-벤츠의 다임러)에 있어 중국은 세계 최대 시장임.
주*: 프랑크푸르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기준 상위 30대 기업의 종합주가지수

- 특히 폭스바겐의 對중국 매출 비중은 40%에 육박해 코로나19로 중국시장 판매량 감소 시 영업실적에 직접적 타격이 불가피함.

독일 DAX지수 구성기업의 對중국 매출 비중

이미지 확대보기

주: 폭스바겐, BMW, 다임러 완성차 3사는 차량 출고 기준, 각 기업 최신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對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11개사 선정
자료: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 (중견기업) 독일 MDAX지수*를 구성하는 60개 중견기업 중 對중국 매출 비중이 15%를 상회하는 기업은 총 6개사임.
주*: DAX지수 구성 기업 30개사를 제외한 상위 60개사의 종합주가지수
- 특히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는 실트로닉(Siltronic)과 기계설비 관련 기업들의 對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데 세계 최대 반도체 수요국 중국의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 내 설비투자가 위축될 시 타격이 예상됨.

독일 MDAX지수 구성기업의 對중국 매출 비중

이미지 확대보기

주: 각 기업의 최신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對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10개사 선정
자료: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 (중소중견기업) 독일 SDAX지수*를 구성하는 70개 중소중견기업 중 對중국 매출 비중이 15%를 상회하는 기업은 총 4개사임.
주*: DAX와 MDAX 구성 기업 90개사를 제외한 상위 70개 기업의 종합주가지수
- 특히 반도체를 생산하는 아익스트론(Aixtron)과 자동화솔루션 기업 이스라비전(Isra Vision)은 對중국 매출 비중이 30%를 초과하는 상황임.

독일 SDAX지수 구성기업의 對중국 매출 비중

이미지 확대보기

주: 각 기업의 최신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對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10개사 선정
자료: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 시사점



ㅇ 독일, 對중국 수출부진 시 경기침체 우려 재점화
-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및 글로벌 경제가 둔화될 경우에 독일의 2020년 경제성장률은 0.2~0.3%p 감소할 전망
- 독일은 2018년 3분기와 2019년 2분기에 기술적 경기침체 위기를 가까스로 극복했으나 2019년 12월 산업생산이 급감한 가운데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쳐 경기침체 우려가 재점화됐음.

한국-독일, 무역의존도·중국 의존도 높은 공통점
- 양국 경제는 수출 중심 경제성장 모델로 약 70%의 높은 무역의존도를 보이고 있어 대외경제 변수에 취약한 구조임.
- 또한 양국 모두 對중국 수출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불가피한 상황임.
- 특히, 한국의 對중국 수출의존도는 2018년 기준 27%로 독일의 대중 수출의존도(7%)를 크게 상회한다 점을 상기할 때 수출시장 다변화가 절실함.

ㅇ 한국 기업의 對독일 수출환경 악화 우려
- 독일이 2019년 내내 미중 무역갈등, 브렉시트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에 시달리면서 0.6%의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한국의 對독일 수출액도 2018년 대비 7.3%나 감소했음.
- 특히 반도체 분야는 독일 및 유럽 경기둔화 우려 속 업황이 악화되면서 對독일 수출액이 전년대비 50% 가까이 급감했으며, 독일 기업의 신규 설비투자 심리도 위축돼 기계류의 수출도 큰 폭으로 감소함.
- 따라서 이번 코로나19 사태가 경기 부진으로 이어져 독일의 수입 수요가 위축되면 한국의 對독 수출 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음.
- 독일 석유화학제품 판매법인 A사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독일 및 유럽 기업들 사이에서 아시아산 제품에 대한 불안감이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제품 구매 시 물류운반 과정에 차질이 발생할까 우려하는 바이어들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함.
- 최근 독일 내 전시회에 참가한 국내 소재부품기업 C사 해외영업 담당자는 "전시회에서 중국 및 한국 부스를 방문한 바이어가 예년에 비해 눈에 띄게 줄어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설명하는 등 사태 악화 시 한국 기업의 독일시장 마케팅 활동에도 큰 차질이 예상됨.

자료: 독일연방통계청(DESTATIS), 독일연방경제에너지부(BMWi), 국제통화기금(IMF),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 Statista, IHS Markit, Tagesschau, K-Stat 무역통계 및 KOTRA 함부르크 무역관 보유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