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ST모빌리티는 NHN와 전략투자를 통해 우선 마카롱택시에 간편결제 시스템 페이코를 도입한다. 이외에도 NHN와 타다나 카카오T와 같이 앱으로 고객이 택시를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나 고객 패턴별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등의 개발도 검토하고 있다.
NHN은 페이코·벅스·한게임·티켓링크·TOAST 등 핀테크, 엔터테인먼트, 게임, 커머스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 경험이 있어 향후에도 폭넓은 협력을 넓혀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NHN 관계자는 "플랫폼 택시 마카롱택시에 전략적 투자유치를 통해 페이코를 비롯해 다양한 서비스 협력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KST모빌리티는 이번 시리즈A 투자유치 외에도 지난 2018년 네오플라이로부터의 시드(SEED) 투자금 50억원을 유치한 바 있다. 이 시리즈A와 시드 투자금을 더해 KST모빌리티는 마카롱택시에 총 230억 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KST모빌리티는 시리즈A 투자에서 확보한 자금을 통해 마카롱택시 사업 인프라와 서비스 협력 모델 확대, 마케팅 강화,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반의 플랫폼 기술 고도화 등을 추진한다.
현재 KST모빌리티는 서울 지역에서 플랫폼 가맹택시 회원 3000대를 유치했으며 이중 운행대수는 올해 상반기까지 약 2000대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서울개인택시조합과 업무협약을 맺고 새로운 전기택시 브랜드 스위치의 플랫폼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한편 플랫폼택시인 마카롱택시는 택시면허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다. 고객이 모바일 앱으로 호출하는 이동 서비스라는 점에서 카카오T나 타다와 같으나 운전면허증만 있으면 되는 타다 드라이버와 달리 택시면허 자격증 기사가 운전한다. 즉 정규직 택시면허 갖춘 기사를 고용한 성과 연동 월급제 방식의 택시다.
홍정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oodlif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