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행사가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준비 단계에서 글로벌 동향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였다면, 올해 행사는 ‘5G 상용화 그 이후, 5G+ 융합서비스’를 조망한다.
전 세계적으로 5G 생태계 선점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우리나라는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에 성공했다. 행사에서는 5G와 융합 속도가 빠르고 시장 잠재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5대 5G+핵심서비스(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실감콘텐츠)에 대한 우리나라의 조기 실증사례를 공유하고, 다가올 미래시대를 전망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삼성전자‧LG전자, 퀄컴, 노키아, NTT도코모 등 5G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과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500여 명이 참석한다.
해외 주요 연사들의 기조발표에 이어 국내외 5G 융합서비스 사례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참석자 간 패널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행사에서는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5G+ 융합서비스 사례 뿐 아니라 국내 중소기업(위즈코어, 언맨드 솔루션 등)과 의료기관(세브란스 병원)의 5G+ 융합서비스 사례도 발표돼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태희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당초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목표로 한 것은, 5G 기반의 글로벌 융합서비스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 큰 이유 중 하나”라고 강조하며, “이번 행사가 5G+ 융합서비스의 본격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장이 되기를 기대하며, 정부도 관련 기술개발과 신서비스 발굴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