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능성소화불량의 환자 수는 2014년 62만1308명에서 2018년도에는 69만3139명으로 약 10.36% 증가했다. 이는 현대인들의 바르지 못한 식습관과 스트레스, 과로 등이 영향을 미치면서 기능성소화불량 환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기능성소화불량은 신경성위염이라고도 하며,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여러 가지 위장장애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만성 위장병이다. 우리나라 인구의 10% 이상에게 발병하는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검사를 해도 큰 이상이 없어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증상은 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잘되지 않고, 설사를 자주 한다. 식사를 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포만감을 느끼며, 상복부에 불쾌감과 통증이 발생한다. 또 트림이 잦아지고 속쓰림, 오심, 구토, 위산역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대개 증상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특징이 있다.
담적병은 위장의 담 독소를 제거하고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치료를 시행해 개선시킬 수 있다. 담적병은 특수 미생물을 발효 처리한 한약을 통해 담 독소를 배출하고 아로마 고주파와 소적 초음파를 통해 굳어진 위장을 풀어줘 만성적으로 축적된 담적을 녹여줌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다만 한방치료는 환자의 증상과 체질에 따른 맞춤치료로 진행되어야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어 전문의의 진료와 상담이 선행되어야 한다.
담적병은 식습관에 의해 재발되기 쉬워 예방과 관리가 중요하다. 식사를 급하게 하는 습관은 위장에 부담이 되기 때문에 식사는 천천히 하며, 음식물을 꼭꼭 씹어 먹는 것이 좋다.
또 식사 후 바로 눕지 말고 최소 2시간 이상은 안정할 수 있도록 한다. 적절한 운동은 위장 기능 회복과 담적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다만 격렬한 운동보다는 조깅이나 등산, 스트레칭 등의 가벼운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도움말 : 강남위담한방병원 나병조 원장
황재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oul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