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중은행 “DLS 판다고 고과 더 받는 것 아니다"

공유
1

시중은행 “DLS 판다고 고과 더 받는 것 아니다"

점수는 DLS만 해당하는 것 아닌 구조적인 문제

은행 등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의 대규모 손실이 예상되면서 금융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사진=Pixabay
은행 등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의 대규모 손실이 예상되면서 금융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사진=Pixabay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판매한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 DLF)의 대규모 손실이 예상되면서 은행의 고과제도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객보다는 은행의 단기 성과 위주로 평가를 하다보니 무분별하게 위험한 상품까지 판매한다는 것이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과 하나은의 PB(Private Banker) 평가 기준인 핵심성과지표(KPI)에서 고객의 수익률이 차지하는 비중은 2~5%다. 고객이 수익을 얻는 것은 PB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셈이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KPI는 수익성과 고객유치, 여수신규모 등 단기 실적 위주로 구성돼 회사 수익에 대한 기여도와 상품 판매 실적 등이 중요한 기준이다. 이때문에 PB들은 KPI를 높이기 위한 상품판매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이와함께 이번 대규모 손실 사태는 DLS 판매에 더 높은 점수가 부여돼 은행 직원들이 이 상품를 더 주력해 팔았다기 때문이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한 은행 관계자는 “DLS상품을 판매하면 실적이 인정되지만 이는 다른 상품을 판매하는 것과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이 상품을 주력해서 팔도록 하거나 점수를 더 주는 경우는 없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DLS 사태뿐만 아니라 고과 제도가 상품 판매 등 실적 위주로 구성된 것을 더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상품 판매가 많이질수록 위험에 노출되는 고객들의 숫자가 많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