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일행은 호텔에서 밀려나 여관급 숙박시설로 옮겼다. 한 방에 여러 명씩 자는 수밖에 없었다. 뿐만 아니라 관광버스 계약도 취소되어 과 대표가 부리나케 손을 써서 버스를 마련하였는데 그것은 영구차였다. 영구차를 타고 제주여행을 한 웃지 못할 해프닝이었다. 요즈음은 상상도 못할 일이다.
최근에는 항공편이 엄청나게 늘어났고 렌터카만 해도 3만5000대가 된다고 하니 엄청난 관광객이 제주도를 방문하고 있다. 그런데 제주도가 앞으로 더 늘어날 수도 있는 관광객들에게 충분히 물을 공급해 줄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심각하다. 생수공장이 들어섰을 때만해도 100년 전 내린 빗물을 한라산이 정화를 시켜 먹고 있다고 하였으나 최근에는 불과 10여 년 전에 내린 빗물을 먹을 정도로 생수 공급량이 엄청 늘어났다.
제주 동쪽은 강우량이 일 년에 4500㎜가 될 정도로 많은 양의 비가 내리지만 제주를 찾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육지에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도 생수로 제공되고 있어 언제까지 무한정 공급될 수는 없는 일이다. 화장실의 변기에 사용하는 물조차 중수가 아닌 깨끗한 물로 사용하고 있어 많은 관광객들의 방문이 물 부족을 야기하지 않을까 염려된다. 이것은 비단 제주도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이 엄청 증가하고 있어 식재료뿐만 아니라 물도 점차 부족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라는 것은 유엔이 이미 인정한 바 있다.
부끄럽게도 히말라야의 많은 산에 버려진 쓰레기 중 대한민국의 쓰레기가 가장 많다고 한다. 몽고의 허허 벌판에서도 한국산 라면 봉지 쓰레기가 발견된다고 하니 우리 국민들은 지구를 더럽히기로 작정을 한 것인가, 하는 푸념마저 든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를 각종 환경오염으로부터 깨끗하게 물려주기 위해 유기농 농사를 짓는다고 하는데 그것은 일부 사람들만의 희망이던가!
삼천리 금수강산은 이제 태곳적 이야기가 되고 말 것인가! 깨끗한 물을 후손들에게 남겨주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 나가야 한다. 결코 물 부족 상태가 또 다른 식량위기로 다가 오질 않기를 기대해 본다.
노봉수 서울여대 식품공학과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