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TF와 택시업계 대표자, 카풀 서비스 준비업체인 카카오모빌리티, 국토교통부 등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기구’ 합의문을 도출해 발표했다. 합의문은 또 초고령 택시운전사의 개인택시 감차 방안, 택시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월급제 시행, 택시의 승차거부 근절 노력, 이번 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거나 발의예정인 관련 법률안은 3월 임시국회에서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내용도 담았다.
그러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다. IT업계는 카카오만 참여한 까닭이다. 합의에서 택시 업계는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 등 대표 단체가 대부분 참여한 반면, IT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만 참여해 다른 업체는 합의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다. 타다, 풀러스 등 다른 카풀·승차공유 업체는 24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택시 업계의 반발이 여전하다. 택시업계는 타다·풀러스에 대해서는 고소·고발하겠다는 방침이다.
카카오 외에 다른 중소형 카풀 업체도 합의에 동참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타다' 등 다른 형태의 공유 차량 서비스는 어떤 식으로 택시와 공생할 수 있을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오전, 오후 총 4시간 허용된 카풀 시간대를 법 개정을 통해 못박을지, 정부 고시 수준으로 처리할 지도 민감한 부분이다.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이해 관계는 달라진다.
"아침 시간에 교통이 어려웠었는데 편리하게 이용하게 되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시민들은 이 같은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택시 업계도 자가용과 경쟁하려면 서비스를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택시를 이용하는 손님 입장에선 보다 친절한 택시를 선호할 게 틀림 없다. 차제에 불친절한 택시 영업이 근절됐으면 좋겠다.
나는 카카오의 경우 택시 영업을 접으라고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합의를 통해 발을 들여놓게 됐다. 그에 따른 사회적 책무도 다하기 바란다.

오풍연 주필 poongye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