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무엇보다 김 위원장이 1일 신년사에서 비핵화 의지를 밝힌 것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표명했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신년사에서 비핵화를 언급한 것은 지난 2011년 이후 8년 만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명의로 발표한 논평에서 "오늘 북한이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를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 남북관계 확대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논평은 “우리 정부는 그동안 남북공동선언을 착실하게 이행해 남북관계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도 병행해 나간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해 왔다"면서 "앞으로도 정부는 우리 국민들과 함께, 남북 간 화해협력을 진전시켜 남북관계를 되돌릴 수 없는 단계로 발전시켜 나가면서 국제사회와도 긴밀하게 협력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고 설명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할 것이며 핵무기를 만들거나 실험하지 않겠다고 발언했다’는 다소 긴 제목으로 신년사 관련 소식을 긴급 타전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혔고,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등 남북관계 개선 의지도 분명히 했다고 전했다.
일본 교도통신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강조하면서 언제든 트럼프 대통령과 만날 용의가 있다며 2차 정상회담에 의욕을 보였다”면서도 “미국이 대북제재와 압박을 유지할 경우 정책 변경 가능성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NHK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북미 정상회담에 의욕을 보이면서도 제재를 계속할 경우엔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다며 미국을 견제했다”고 보도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 관한 언급이 가장 관심을 끌었다. 그것의 개최 가능성 또한 김정은에게 달려 있다. 물론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도 기대한다.

오풍연 주필 poongye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