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면서도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여건 조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최근 실시한 ‘남북교역에 대한 무역업계의 인식 조사’에 따르면, 1200여 명의 응답자 중 남북관계 개선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46.9%가 ‘매우 긍정적’, 39.8%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비즈니스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기업도 85.1%나 됐다.
무역업계는 ‘남북교역, 경제특구 진출 등 비즈니스 기회 창출’을 가장 많이 기대했고(39.2%), ‘남북 교통망 연결을 통한 동북아 물류 활용 가능성’(23.2%), ‘한반도 긴장이 완화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15.5%) 등을 꼽았다.
남북교역 재개 시점에 대해서는 ‘4~5년 이내’로 예상하는 응답자가 31.7%로 가장 많아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교역재개 시 유망 분야로는 ‘인프라·건설·자원산업’(35.1%), ‘전기·전자·통신·기계’(17.3%), ‘관광’(15.3%), ‘섬유·의류·생활용품’(13.5%) 순으로 꼽았다.
조사 대상 기업들은 대북 비즈니스 우려사항으로 ‘북한 비즈니스 환경에 대한 정보 및 교육 부족’(22.0%), ‘북한당국의 통제 및 간섭 피해’(18.6%),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 변화에 대한 우려’(13.7%), ‘미국·UN 등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가능성’(11.6%) 등을 지목했다.
민간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남북교역 여건을 조성’(34.6%)하는 한편, ‘국제사회와의 공감대 형성 및 대북사업 협력’(15.8%)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남북 경제협력과 관련된 자유기술형 설문에서도 ‘지속성’과 ‘안정성’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한편 무역협회는 최근 ‘남북교역지원센터’를 신설하고 △대북 비즈니스 애로 개선 △교역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남북 교역업체 협의체 운영 등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아울러 지원센터는 18일 오후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을 초청한 가운데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신 남북 경협정책과 무역업계 대응 포럼’을 개최한다
길소연 기자 k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