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은행 관계자는 "경제 상황이 안 좋은 가운데 애초부터 리스크를 감소시키기 위해 여신심사 체계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 B은행은 인터넷을 통한 카드론의 한도를 줄이고 사용 가능 신용등급도 상향조정했다. 은행 입장에서는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카드론 사용실적이 많아질 경우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다만 이 은행은 무분별한 대출이 향후 연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이같이 조치했다.
시중은행들이 '리스크'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다. 유럽 재정위기의 장기화, 가계부채 등 대내외 여건이 악화하는 가운데 각 은행들은 하반기 리스크관리 강화에 초점을 맞췄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0.97%로 전월말(0.89%)대비 0.0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07년 2월(0.93%) 이후 5년 3개월만에 가장 높아진 것이며 사상 최고치인 1.07%(2006년 10월) 보다 불과 0.1%포인트 낮은 수치다.
이와 관련 국민은행 고위관계자는 "현재 은행의 자산을 늘리기 보다는 리스크관리를 통해 대출을 점차 줄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며 "올해뿐 아니라 향후 몇년동안은 순익이 크게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전했다.
외환은행 고위관계자는 "최근 연체가 증가하고 있는 집단대출 신청이 들어오면 시공사만 보지 말고 향후 사업성을 평가해 판단하도록 기조가 변경됐다"면서 "카드발급 등 여신심사 기준이 지속적으로 까다로워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시중은행들이 리스크에 대해 적극 대응하는 데에는 금융당국도 큰 몫을 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부터 시중은행에 대해 리스크관리 강화를 주문해왔다. 유럽 재정위기와 부동산경기 침체 등 리스크 요인들이 점차 악화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연초에 파악했던 리스크 요인들이 실제로 쉽게 해결되지 않아 우려된다"면서도 "지난해부터 리스크를 면밀하게 관리했다. 다행히 외부에서는 국내 은행들의 리스크가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유로존 사태가 수그러들면서 분명히 후유증이 있을 것"이라며 "돌발변수로 인해 유럽의 소비가 더욱 감소하면 그 부작용이 국내까지 영향을 미치기에 계속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