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러시아에서 아르메니아로 보내는 송금 크게 줄어

공유
0

러시아에서 아르메니아로 보내는 송금 크게 줄어

아르메니아 중앙은행 자료에 따르면 2014년 8월 러시아에서 아르메니아로의 해외송금액이 전년 대비 9%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8월 개인송금액은 1억 8440만 달러(약 1948억원)였으나, 2014년 8월에는 1억 6770만 달러(약 1772억원)로 급격히 감소했다.
러시아발 아르메니아로의 송금은 이미 올 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세를 보여왔다. 5월은 전년대비 1.1% 감소, 7월은 전년 대비 3.9% 감소, 8월에는 9% 이상으로 까지 떨어진 것이다.

Hrant Bagratyan 아르메니아 전 총리는 러시아로부터 송금되는 금액이 아르메니아 경제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돈이 있어야 아르메니아 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이 감소하고 아르메니아인들의 삶의 질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경제성장이라는 과제실현과 떨어지고 있는 국민생활 수준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아르메니아에게 돈은 생존을 위한 필수 수단이다.

일례로 2013년 아르메니아 수출 및 해외송금 통계자료는 아르메니아가 해외 송금에 얼마나 의존적인지를 보여준다. 중앙은행에 따르면 2013년 아르메니아의 총 수출액은 14억 달러(약 1조 4793억원)이었다. 같은 해 해외로부터 아르메니아로 유입된 송금액은 이를 초과한 18억 달러(약 1조 9026억원)에 달했다.

Hrant Bagratyan 전 총리는 정부가 올해 목표한 경제성장률인 4% 성장을 달성하기는 불가능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게다가 올 연말에는 정부예산이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불어 그는 불행하게도 현재 아르메니아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처해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아르메니아의 현재 경제 성장률은 목표한 4%보다 1% 하락한 3%에 머물러 있다. 1% 하락이 작은 수치로 느껴질지도 모르나, 문제는 이미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WB)도 세계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분석과 함께 아르메니아에 대한 미래 전망을 어둡게 내다보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6월에 이미 IMF와 세계은행은 아르메니아의 2014년 경제 성장 전망치를 2.5~2.7%로 하향 조정했다. 아르메니아의 예상 전망치인 4%에 비해 상당히 낮다.
IMF는 이어서 공개적으로 아르메니아 경제가 어려운 시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인정했다.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경제단체와 관련 기구들이 아르메니아 경제에 대한 전망을 비관하게 되면, 해외 투자가 줄어 자금 유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해외 송금액에 절대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아르메니아는 국가경제의 가장 큰 돈줄이 급감하게 되어 국내 경제 사정이 크게 경색될 우려가 있다.

Hrant Bagratyan 전 총리는 아르메니아 경제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3가지를 꼽았다. 첫째, 내부적으로 개혁이 완성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 외부적으로 아르메니아는 유라시아경제연합(EEU)에 소속되어 있는데 EEU에 조인하는 것은 장점도 있지만, 서방과의 관계에는 악영향을 끼치는 등 단점 역시 많다. 셋째, EU가 아르메니아의 유럽연합협정에 조인하는 것을 거부한 것이다.

아르메니아는 CIS(독립국가연합) 소속으로 오래도록 러시아의 영향권 아래 있어 왔다. 그러나 EU도 아르메니아의 주요 수출시장이기 때문에 아르메니아는 러시아와 유럽이라는 강대국 사이에서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

아르메니아는 2009년부터 EUㆍ동부 파트너십을 통해 실질적인 친유럽 노선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2013년 9월 아르메니아는 러시아의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EUㆍ동부 파트너십 대신 러시아가 주도하고 있는 유라시아경제연합(EEU)에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힘없는 소국으로서 자의는 아니지만 결과적으로는 러시아권에 흡수되는 양상을 보이자 유럽과의 관계에도 다시 냉기가 흐르게 된 것이다. 이 때문에 유럽도 EU 가입의 사전단계 격인 유럽연합협정에 아르메니아의 가입을 거부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아르메니아는 경제적 실리와 러시아의 그늘을 벗어나 균형적인 외교관계 구축을 위해 유럽으로의 통합을 꿈꾼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오래도록 러시아로부터 정치적ㆍ경제적 영향을 받아왔고, 아직까지는 강대국의 힘의 논리 앞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약소국에 불과하다는 것이 아르메니아의 현실이다.

/정은영 기자


*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 EEU)

△ 참가국: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 공식 홈페이지: 유라시아경제위원회(Eurasian Economic Commission, EEC)로 링크됨


러시아가 구 소련권 국가들(CIS: 독립국가연합)간의 협력 증진을 위해 회원국 간의 상품, 서비스, 인력, 자본 등의 자유로운 이동과 교류를 목표로 만든 경제 공동체다.

즉 유럽연합(EU)와 거의 흡사한 기능을 한다. 최근 CIS 소속국가들이 과거에 비해 친서방, 친유럽을 지향하는 사회 분위기가 태통하고 있어 러시아가 이들의 유럽으로의 이탈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이다.

러시아는 2012년에 벨라루스(백러시아), 카자흐스탄와 함께 3국 관세동맹을 출범시키며 EEU 창설을 준비해왔다. 2013년 12월에는 푸틴 대통령이 주체하여 모스크바서 EEU 정상회담을 열고 3국 정상이 참여한 가운데 EEU 창설을 논의했다. 이 회담에서 3국 정상들은 2014년 연말까지 가입국의 의회 비준 절차를 통과해 2015년 1월에 정식 출범하는 것에 합의했다.




*유럽연합협정(Association Agreement, Convention d'association) : 유럽연합협정은 ‘공동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국가 혹은 국제조직간에 상호적 권리 및 의무, 공동행동 및 특별절차를 포함한 연합을 설립하는 협정을 체결할 수 있다’는 EC조약 238조에 기초하며 아래와 같이 4개의 종류로 나뉜다.

(1) 과거 프랑스 식민지였던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3국과의 관계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합협정
(2) 관세동맹의 창설을 지향하는 연합협정
(3) 향후 EU 가입을 예기(豫期)한 연합협정
(4) EU에 가입하기 전 사전단계로서의 연합협정

현재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이 (4)이기 때문에 연합협정을 '준가입협정'이라고도 한다.


*유럽연합(EU)ㆍ동부 파트너십(EU's Eastern Partnership)
EUㆍ동부 파트너십이란 EU가 동유럽, 중앙아시아 등 구소련 국가들(현 CIS 소속국들)과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의 발전ㆍ강화를 위해 추진해온 정책을 말한다.

제1차 회의는 2009년 12월 8일 벨기에 브뤼셀에서 최초로 개최됐다. 당시 회의에 참가한 나라가 유럽측에서는 EU 지도부, 독일 총리, 프랑스 대통령, 영국 총리 등 각국 정상들이 왔고, CIS측에서는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몰도바 정상들이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CIS 소속 6개국은 EU와 비자면제, 자유무역 등 경제협력을 위한 협정을 체결하는데 합의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이들 6개국의 친유럽 행보를 보고 그냥 지나치지 않았다. EU로 경제권이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대상국들에게 경제제재를 가하는 등 압박을 시작했다. 이 때문에 CIS 국가들과 유럽의 EUㆍ동부 파트너십 협정은 큰 타격을 받으며 관계 발전이 지지부진해졌다.

2013년 7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과자에 대한 금수조치를 내리고 조선, 원자력, 항공우주산업 분야 등에서 협력을 중단하겠다고 우크라이나를 압박하자, 우크라이나는 협정 잠정중단 의사를 밝혔다.

또한 아르메니아는 러시아가 아르메니아와 영토 분쟁이 있는 이웃국가 아제르바이잔에게 무기를 제공하겠다고 압력을 넣자, 결국 2013년 9월 EUㆍ동부 파트너십 대신 러시아가 주도하고 있는 유라시아경제연합(EEU)에 참여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같은 해 2013년 11월 열린 EUㆍ동부 파트너십 정상회의에서는 제1차 회의에 참가했던 6개국 중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4개국이 협정 체결을 거부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반면 러시아는 나머지 2개국인 몰도바와 조지아에도 압력을 행사했다. 몰도바에는 몰도바산 포도주 수입을 전면 금지시키고, 몰도바 노동자의 러시아 불법 체류 단속을 강화시켰다. 조지아에 대해서는 주요 산물인 와인과 광천수 수입을 금지하겠다고 압박했다. 그러나 몰도바와 조지아는 러시아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EUㆍ동부 파트너십 협정에 가조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