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 LAND 소유자에게 가상 부동산 임대 시작

글로벌이코노믹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 LAND 소유자에게 가상 부동산 임대 시작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는 가상 토지(LAND, 랜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가상 부동산 임대를 시작했다. 출처=디센트럴랜드이미지 확대보기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는 가상 토지(LAND, 랜드)를 소유한 사용자에게 가상 부동산 임대를 시작했다. 출처=디센트럴랜드
메타버스 플랫폼 디센트럴랜드(Decentraland)는 가상 토지(LAND, 랜드)를 소유한 사용자가 디지털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공간에 대한 권리를 공식적으로 임대할 수 있다고 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디센트럴랜드는 가상 토지를 소유한 사용자가 본질적으로 지주가 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 기능을 발표했다. 소유자는 이제 플랫폼의 다른 사용자에게 미리 정의된 기간 동안 자신의 자산을 공식적으로 임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메타버스 자산에서 수동적인 수입을 얻을 수 있다.

디센트럴랜드는 토지 소유자를 분산시키고 '택지, 부동산 또는 둘 다' LAND에 대한 스마트 계약을 소유하는 계정 또는 지갑 주소로 분류한다.
모든 가상 토지 렌탈은 디센트럴랜드의 기본 토큰 마나(MANA)에서 수행되며 모두 선불이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대학이 캠퍼스를 짓기 위해 토지를 임대하거나 DJ가 클럽이나 파티를 위해 공간을 임대하는 예를 들었다.

대부분의 유형 자산 부동산 임대계약과 마찬가지로 디센트럴랜드와 집주인은 토지를 매각할 수 없고, 임대계약 기간이 끝날 때까지 구매 입찰도 받을 수 없다.

디센트럴랜드와 트위터 팔로워들은 웨어러블에서도 동일한 대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커뮤니티의 반응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다.

이는 메타버스가 계속 진화하고 웹3 산업 안팎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한편, 메타버스는 옥스퍼드 대학이 선정한 올해의 단어에서 2위를 차지했다.

메타버스, 특히 축제와 패션 위크와 같은 메가 이벤트는 새로운 커뮤니티 구성원과 개발자들이 더 큰 웹3의 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이 되고 있다.


김성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de.kim@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