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해외 의료기기 제조업체 규제 강화

공유
1

중국, 해외 의료기기 제조업체 규제 강화

외국기업, 중국 의료기기 시장 80% 장악…315개 병원에 해외 장비 사용 제한

지난 9월 3일 오후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를 찾은 관람객들이 의료기기를 살펴보고 있다. 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9월 3일 오후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를 찾은 관람객들이 의료기기를 살펴보고 있다.
중국은 외국 의료기기 업체 퇴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외국 기업이 지배하는 자국 의료기기 시장에서 중국 의료기기 산업을 구축하고자 외국 기업의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해외 제조 의료 장비 사용 금지 조치로 다국적 기업은 시장을 떠날 것인지 아니면 핵심 기술을 중국에 양도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중국 후베이성, 안후이성, 산시성, 닝샤후이족 자치구의 지방 정부는 지난 4월 현지 병원에 의료 및 검사 장비 사용을 국내 생산으로 제한하는 통지서를 발표했다.

이는 2021년 5월 중앙정부의 내부 고시에 따라 자기공명영상장비, 컴퓨터 단층촬영장비, 엑스레이, 내시경 장비 등 315개 품목에 대해 병원이 지역 생산자들로부터만 조달하기를 희망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시험장비업체인 시스멕스(Sysmex) 관계자는 "장비 구매 연기 등 일부 제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중국내 외국의료기기 제조업체는 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많은 중국 지방정부가 이 명령을 따르고 있다. 이 문제에 정통한 관계자는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등 주요 병원들도 점점 더 자국 생산 제품으로 조달을 제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중국 의료기기 제조 시장은 해외 업체들이 공개 입찰을 통해 70~80%의 CT·MRI 매출 점유율로 장악하고 있다. 관련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회사는 고성능 모델의 약 80%를 만든다. 상위 3개 제조업체는 제너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 GE), 지멘스(Siemens), 필립(Philip)이다.

중국의 의료 장비 시장은 광대하며 고령화로 인해 앞으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현지 언론은 중국 의료 장비 시장의 매출이 2021년의 1400억 달러에서 2025년까지 두 배 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고 보도했다.
중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CT와 MRI 매출액은 공개입찰 수치에서만 연간 각각 35억 달러와 20억 달러에 달했다.

일본 의료장비 제조업체 시스멕스는 2018년부터 중국 산둥성 지난에서 혈액 검사 장비를 조립하고 있다. 최근에는 소변검사 장비의 현지 조립으로 전환했다.

일본의 또 다른 의료기기 제조업체인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Hitachi High-Technologies)도 장쑤성 쑤저우에서 중소장비 조립을 시작한 지 3년 만인 2021년부터 중형장비 조립을 시작했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미국의 GE 헬스케어는 지난 8월 베이징 전시회에서 중국 현지에서 개발해 제조한 CT 등 장비를 전시했다. 마찬가지로 지난 6월 독일의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중국 기업'으로 국내 생산을 확대하겠다고 선언했다. 네덜란드 기업필립도 중국 현지에서 CT와 MRI를 생산한다.

베이징은 기업들이 조립 공정을 중국으로 이전할 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 설계 및 핵심 부품 조달도 원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국 정부의 계획은 외국기업의 기술이전을 독려해 궁극적으로 2035년까지 국내 의료기기 산업 수준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지난 7월 중국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조달할 때 우대하는 정부조달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중국의 한 관련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핵심 부품을 설계, 개발, 조달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외국 기업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2010년부터 국내 인터넷 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구글, 페이스북 등 미국 플랫폼의 현지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2018년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행정부는 개인용 컴퓨터 및 서버와 같은 권장 정보 기술 장비 제조업체와 제품을 나열함으로써 한 걸음 더 나아갔다. 2020년까지 중국 기업에 대한 기술 조달을 심각하게 제한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일본 기업에 복사기 등 사무기기 제조 기술도 이전하라고 압박하고 있다. 한 제조업체의 한 임원은 "중국에서 생산한다면 우리 기술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가 도전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세업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