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전기차 구매세는 지난 201년부터 전액 감면됐고 2017년에 끝날 예정이었지만, 전기차 산업을 촉진시키기 위해 중국 당국은 구매세 감면 정책을 2020년 말까지 연장시켰다.
2020년 구매세 감면 정책이 끝날 당시에 코로나19가 대규모 확산돼 시장 침체를 막기 위해 해당 정책은 다시 연장됐고, 내년부터 다시 구매세를 징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중국 당국은 3~5월의 대규모 봉쇄 후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전기차 시장을 부양하려고 중국 당국은 지난달부터 전기차 구매세 정책 연장 관련 사항을 검토했다.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전기차 구매세 정책을 2023년 말까지 연장시키기로 결정했다.
모든 브랜드의 순수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연료전지 자동차 등 전기차 모델은 구매세 10%를 감면한다.
현재 잘 팔리는 전기차의 판매 가격으로 계산하면 대부분 소비자들은 전기차 구매에 최소 1만 위안을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예를 들면 판매 가격이 31만6900위안(약 6191만9091원)의 테슬라 후륜구동 모델 Y은 구매세 감면 정책을 적용한 뒤 약 2만8000위안(약 547만920원)을 절약할 수 있다.
중국 당국의 구매세 감면 등 정책으로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2014년의 7만5000대에서 지난해의 350만대로 대폭 증가했고, 올해의 전기차 판매량은 600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이 대폭 증가하고 있지만, 전기차 충전소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에 중국의 전기차와 충전기 보유량은 각각 784만대와 261만개로 집계됐고, 전기차와 충전기 비율은 불균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중국 당국은 전기차 충전기와 충전소 신설을 호소하고 있다.
양지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vxqha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