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타르, 저가 고집 비판에 LNG선 韓 발주 보류

공유
26

카타르, 저가 고집 비판에 LNG선 韓 발주 보류

2년 전 선가 고집하며 협상을 끌더니 사실상 연기
산자부 공문 보내도 고집, 양국간 외교적 이슈 불거져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사진=삼성중공업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운반선. 사진=삼성중공업
최대 151척‧23조원 규모의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건조를 발주하려는 카타르가 한국 조선소에 대한 선박 발주를 전격 보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2년전 선가 대로 건조를 해달라는 상식에서 벗어난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 한국 내에서 비판의 여론이 일자 강한 불쾌감을 드러내며 한국과의 논란을 빚자 발주 거부라는 초유의 강압적인 자세로 나선 것이다.
대규모 발주를 한다는 ‘갑’의 혜택을 누리겠다는 태도는 어느 정도 수긍하겠지만, 업계의 상식선을 넘어서는 카타르측에 대해 국내에서는 오만방자함이 극에 달했다는 극단적인 비난까지 나오고 있으며, 선박 발주 시장이 호황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굳이 굴욕을 감내하면서까지 수주에 목숨 걸 필요가 없다는 ‘카타르 패싱론’까지 대두되고 있다.

조선‧해양 전문 매체 트레이드윈즈 최근 보도 및 조선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측은 최근 LNG운반선 건조가격을 둘러싸고 한국내에서 논쟁이 일자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족선 빅3와의 최종 계약이 최소 수 주 이상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최대 151척에 달하는 이번 LNG운반선 건조 프로젝트에 따라 카타르에너지와 한국 조선사간 협성이 진행되고 있지만 건조 가격을 두고 양측간 입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카타르 에너지는 최초 계획을 발표하면서 한국 조선 빅3와 LNG운선 발주 권리를 보장하는 약정서(Deed of Agreement)를 체결한 2020년 6월 당시의 선가를 주장하는 반면, 한국은 시장에서 형성된 현재의 건조비를 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 통계를 살펴보면, LNG운반선 시황을 대표하는 17만4000㎥급 선박의 건조가격은 처음 발표한 2014년 2억500만달러에서 매년 떨어져 2017년 1억8200만달러로 내려앉은 뒤 카타르 측이 발주를 결정하는 기준 가격으로 사용한 2019년에는 1억8600만달러였다. 2020년, 2021년에도 이 가격은 유지됐다. 하지만 올해부터 가격이 상승하더니 3월말 기준은 2억2000만달러로 역대 최대 수준까지 올라섰다. 막판 계약 과정에서 무려 3400만달러(약 420억원)이나 오른 것인데, 문제는 앞으로도 선가가 계속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다.

중국에 최초 4척의 LNG운반선 건조 및 용선 계약을 확정한 카타르 에너지측은 한국 빅3에 초도 물량으로 각 조선소마다 4~5척을 발주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들 선박 건조비를 2년전 가격으로 맞춰달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국 조선 빅3는 일정 비율의 가격이 합의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카타르측과) 지옥처럼 서로 싸우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최근 가격 분쟁으로 인해 조선 및 선주 용선 계약이 몇 주 뒤로 미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발언의 진위를 살펴본 결과, 카타르측이가격 절충을 하겠다는 게 아니라 아예 발주를 보류 함으로써 국내 조선사가 수용하라는 식의 고집을피우고 있다.

조선업계에서는 최근 글로벌이코노믹 보도(2022년 4월 16일 ’조선업 최대 성과’ 카타르 LNG선 수주 ‘붕괴’ 역풍 우려 참고)를 통해 이같은 사실이 드러난 뒤 카타르에너지측은 더욱 더 고자세를 취하면 고집을 꺾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더군다나 보도가 나간 뒤 주무부청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장관 명의의 공문을 카타르 정부에 보내 갈등을 해소해줄 것을 적극 요청한 것으로 알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발주 보류라는 카드까지 내민 것은 양국간 외교적 관계에도 어긋나는 처사라면서 더욱 분노하고 있다.
조선업계도 무리를 감내하면서까지 수주에 올인할 필요는 없다는 공감대가 확산하고 있다.

대형 조선소 관계자는 “협상이 결렬될 일은 없겠지만, 지금 당장 카타르의 물량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발주 문의가 이어지고 있어 조선소에 일감을 채우는 데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이라면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서방 국가들로부터 경제재제를 당하자 유럽 등지에 천연가스 공급을 중단하는 등 LNG 수급이 빠듯한 상황이 되자 주도권을 쥔 카타르가 더 고자세로 나오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지금의 상황을 제때 잡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절박감은 카타르가 더욱 크다. 우리는 지켜볼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