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욕증시 비트코인 휘청, 베이징 봉쇄+ 자이언트 스텝+ 실적발표

글로벌이코노믹

증권

공유
0

뉴욕증시 비트코인 휘청, 베이징 봉쇄+ 자이언트 스텝+ 실적발표

미국 뉴욕증시 모습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뉴욕증시 모습
베이징 봉쇄와 미국 연준의 빅스텝 금리인상 그리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등 뉴욕증시를 흔들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주요 대기업들의 실적 발표가 몰려있다. 연준의 금리인상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상황, 기업들의 실적발표 그리고 상하이 봉쇄등이 뉴욕증시와 비트코인, 국제유가 달러환율 그리고 국채금리 등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파월 연준 의장은 빅스텝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연준이 5월과 6월 회의에서 각각 50bp, 75bp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7월 회의에도 연준이 50bp 금리 인상을 단행해 인상 초기에 금리를 빠르게 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으로 그 가능성은 더 높아졌다.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에 있어 "약간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언급했으며, 정책에 있어 "앞당겨서 하는 것(front-end loading)"을 선호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미국 연준이 기준금리를 급격히 올리면 코로나 이후 초저금리에 익숙해진 시장은 충격을 받을 수 있다.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로 국채 등 채권 금리와 대출 금리가 연쇄적으로 오르면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경기 회복이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인플레이션 방어를 위해 연준이 1980년대 초 기준금리를 20%까지 올렸을 때 경제성장률은 마이너스로 곤두박질치고 실업률은 10%를 넘어설 정도로 충격을 받았다.

26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올 전고점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조정 영역에 진입했다 나스닥지수는 2021년 11월 고점대비 다시 20% 이상 하락해 심한 약세장에 진입했다. 지난 한 주간에도 S&P500지수는 2.75% 하락했다. 나스닥지수는 3.83% 밀렸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도 1.86% 하락했다. 다우지수는 4주 연속, 그리고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모두 3주 연속 떨어졌다. 이번 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알파벳(26일), 메타(27일)와 애플, 그리고 아마존(28일)의 실적이 발표된다. 지금까지 1분기 실적을 발표한 S&P500지수 기업은 20%가량으로 이 중 79%가 예상치를 웃도는 주당순이익(EPS)을 발표했다. 이는 5년 평균인 77%를 약간 웃돈다. 미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은 0.8%로 지난해 4분기 기록한 6.9%에서 크게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미국 뉴욕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지표 및 연설 일정

2021년 4월26일=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 주관 인프라 프로젝트 관련 회의, 내구재수주,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 소비자신뢰지수, 신규주택판매,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비자, 펩시코, UPS, 텍사스인스트루먼트, 제너럴일렉트릭, 제너럴모터스, 치폴레, 워너브라더스디스커버리 실적
4월 27일= 잠정주택판매, 메타, 티모바일, 암젠, 퀄컴, 보잉, 페이팔, 포드, 크래프트하인즈 실적
4월 28일= Q1 GDP(예비치)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 활동 지수, 애플, 아마존, 마스터카드, 일라이 릴리, 머크, 컴캐스트, 인텔, 맥도날드, 캐터필러, 트위터, 로빈후드 실적발표
4월 29일= 개인소비지출(PCE) 및 개인소득, 고용비용지수, 시카고 PMI,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엑손, 셰브런, 애브비, 아스트라제네카, 하니웰, 필립스66 실적

지난 주 마지막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50bp 금리 인상 발언 영향이 지속되며 2% 이상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81.36포인트(2.82%) 하락한 33,811.40으로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21.88포인트(2.77%) 떨어진 4,271.78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335.36포인트(2.55%) 밀린 12,839.29로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지수의 하락 폭 981.36포인트는 2020년 6월 11일 기록한 1,861.82포인트 이후 최대이다.

이런 가운데 영국이 특수부대를 우크라에 파병했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러시아의 3차 세계대전 전면전 엄포가지 나오고 있다. 타스통신은 한국시간 24일 러시아 정부 관계자를 인용, 영국 최정예 특수부대인 공수특전단(SAS)이 우크라이나에 파견돼 현지 병사들을 훈련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 군의 우크라이나 파병이 사실이라면 이는 러시아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간의 직접 충돌로 이어질수도 있다. 이는 또 3차 세계대전으로 확전할 수도 있다. 영국은 8년전인 2014년에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했을 때부터 우크라이나에 교관을 파견해 군사훈련을 제공해왔다. 영국은 올 초까지도 대 전차무기 교육 등을 진행해 오다가 러시아 침공 일주일 전인 2월 17일 자국 대사 보호 등을 위한 필수 인력을 제외한 모든 병력을 철수시켰다.

베이징 봉쇄로 중국의 관리통제구역이 크게 늘고있다. 상하이에 이어 베이징도 경제마비의 우려가 나오면서 상하이증시가 대폭락했다. 상하이증시분 아니라 뉴욕증시 비트코인도 휘청하고 있다. 코로나가 중국 수도 베이징을 덮치면서 아시아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상하이에 이어 베이징까지 일부 지역이 봉쇄됐다는 소식에 중국 상하이 증시는 5% 넘게 폭락했다. 중국 위안화 가치는 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미국의 금리 인상에 중국발 악재까지 겹쳐치면사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250원을 한때 넘어섰다. 베이징 봉쇄 소식에 중국 대표 지수인 상하이종합지수는 5.13% 폭락한 2928.51로 장을 마쳤다. 상하이지수가 마의 3000선 밑으로 내려간 것은 코로나19발 경제 타격이 본격화한 2020년 6월 말 이후 처음이다. 선전성분지수는 낙폭이 더 커 6.08% 하락 마감했다. 외환시장에서는 위안화 환율이 2021년 4월 이후 1년여 만에 처음으로 달러당 6.58위안을 돌파했다. 중국 베이징은 25일 차오양구 등 로나19 감염자가 늘어난 지역을 중심으로 약 15㎢를 임시 관리통제구역으로 지정했다. 해당 지역 내 회사에는 원칙적으로 재택근무 명령이 내려졌다. 필수 사유가 아니면 외출도 금지된 상태다. 차오양구가 사실상의 봉쇄 조치에 돌입한 가운데 베이징 일부 지역에서는 대형마트 등을 중심으로 식료품과 생필품 사재기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아시아 증시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경계 여파가 이어지며 하락했다. 중국과 홍콩 증시는 수도 베이징 일부 지역이 봉쇄된 여파까지 더해 큰 폭 하락했다. 일본 도쿄 주식 시장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우려에 하락 마감했다. 닛케이225 지수는 전장보다 514.48포인트(1.90%) 내린 26,590.78에 장을 마쳤다. 도쿄증시 1부에 상장한 종목 주가를 반영한 토픽스 지수는 전장 대비 28.63포인트(1.50%) 밀린 1,876.52에 장을 마감했다. 중국 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도 베이징 봉쇄 우려에 폭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5.13% 내린 2,928.51로 거래를 마쳤고, 선전종합지수는 6.48% 내린 1,790.03에 장을 마감했다. 베이징 당국은 이날 주만을 대상으로 전수검사에 들어가는 한편 인구 350만 명인 동부 차오양구에 대해 사실상 봉쇄조치를 내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올리는 이른바 '자이언트스텝'을 밟을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25일 국내 금융시장도 타격을 받았다. 코스피는 47.58포인트(1.76%) 내린 2,657.13에 거래를 마치며 이틀 연속 하락했다. 삼성전자[005930](-1.04%), SK하이닉스[000660](-2.2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00%), 네이버(-3.83%), 카카오[035720](-2.50%), 삼성SDI[006400](-3.02%) 등 지수 움직임을 주도하는 시가총액 상위주가 잇따라 큰 폭으로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22.94포인트(2.49%) 내린 899.84로 마감했다. 원 달러 환율은 장 마감 직전 1,250.1원까지 오르며 지난 22일에 이어 2거래일 연속으로 연고점을 경신했다. 2020년 3월 24일(1,265.0원) 이후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환율이 급등하자 외환당국은 이날 오전 "최근 환율 움직임은 물론 주요 수급주체별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시장에 전달하며 구두개입에 나서기도 했다. 올 들어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은 지난 3월에 이어 두번째다.

연준이 5월에 기준금리를 한 번에 50bp 올리는 '빅스텝'에 이어 6월에는 금리를 한 번에 75bp 올리는 '자이언트스텝'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다음 달 50bp 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했다. 이에 앞서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75bp 금리 인상 가능성도 내비쳤다.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공격적인 긴축이 가시화하면서 21일 뉴욕증시 3대 지수도 일제히 2% 이상 하락 마감했고 불러드 총재의 '75bp 인상' 발언도 다시 부각됐다. 삼성전자[005930](-1.04%)가 6만6천300원까지 떨어지면서 52주 신저가(6만6천100원)에 근접했다. LG에너지솔루션[373220](-0.80%), SK하이닉스[000660](-2.26%),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1.00%), 네이버(-3.83%), 카카오[035720](-2.50%), 삼성SDI[006400](-3.02%), 기아[000270](-0.25%)도 하락했다. 네이버(-3.83%), 크래프톤[259960](-3.00%), 엔씨소프트[036570](-2.37%), 넷마블[251270](-3.70%), 카카오페이[377300](-4.24%) 등 성장주로 꼽히는 IT·게임 관련주들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6.67%)는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성공 소식에 급등했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