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상승하는 예적금 금리…시중 자금 은행권 쏠림 현상 가속화

공유
0

상승하는 예적금 금리…시중 자금 은행권 쏠림 현상 가속화

14일 한은 기준금리 0.25%p 인상…은행권 수신금리 인상 행렬 이어져
4% 육박한 예적금 금리…5대은행 예금 잔액, 14일 기준 657.7조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영업부에서 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18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영업부에서 한 고객이 상담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이후 시중은행들이 경쟁적으로 예적금금리를 인상하면서 은행권으로의 자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번 인상으로 4%에 육박하는 고금리 수신상품이 등장하는 등 투자처로써의 매력이 높아진 가운데, 인플레이션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은행권으로의 자금 유입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 14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기존 1%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는 지난해 8·11월에 이은 인상으로,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지난해 3월 기준금리 인하 전 수준(1.25%)을 회복한 셈이다.
이로 인해 KB·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은 이번 주 예·적금 금리를 상향 조정했다. 19일 NH농협은행은 예적금 금리를 기존보다 최대 0.25~0.4%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KB국민은행도 20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인상하며, 특히 비대면 전용상품인 ‘KB반려행복적금’의 경우 3년 만기 기준 최고금리가 연 3.35%로 상승하게 된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난 17일부터 예적금금리를 최대 0.4%포인트, 0.3%포인트씩 인상했으며, 하나은행도 지난 18일부터 예적금 금리를 최대 0.3%포인트 인상했다. 특히 모든 은행의 예적금금리 인상분이 기준금리 인상분(0.25%포인트)을 상회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금리인상기에 벌어진 예대금리차로 인한 비판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지난 5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예대금리차에 대해 “예금금리는 살펴봤고 지금은 금융회사별로 대출금리를 보고 있다”며 “소비자 이익에 부합하는 쪽으로 조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시장금리 불개입’ 원칙에서 벗어나 예대금리 조정에 개입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낸 셈이다.

당국의 의도는 일정부분 반영됐다. 은행권 예적금금리는 기준금리 인상 전부터 꾸준히 상승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 지난해 12월 20일 기준 예금은 2%, 적금은 3.6%까지 상승한 상태였다. 여기에 이번 인상을 통해 시중은행의 적금금리 상단은 4% 중반대를, 예금금리 상단은 2% 중반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로 인해 14일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약 657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2조8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이는 저점을 찍었던 지난해 4월말(614조7991억원) 대비 43조원 이상 증가한 규모다.

이런 은행으로의 급격한 자금유입 현상은 수신금리 인상 외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이나 ‘빚투(빚내서 투자)’ 등으로 대변되는 주식·부동산 등 자산시장의 수익성이 축소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국내 증시는 하반기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와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정연우 대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테이퍼링 시행 속에 글로벌 경기와 물가 불안이 이어질 것”이라며 “내년 1분기까지 코스피는 조정 국면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동산 시장 역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의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15% 하락했으며, 특히 서울의 경우 0.79%나 급락했다. 월별 매매가격지수 상승폭도 8월 0.96%에서 12월 0.29%로 급격히 축소됐다.

이는 당국의 강력한 대출 규제 지속되면서 기존 투자처인 자산시장에 대한 열기가 식은 가운데, 오미크론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하자 안전한 투자처인 은행 예적금의 매력이 올라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올해 본격적인 금리인상기를 맞아 은행 예적금으로의 시중자금 쏠림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금리 상승분을 반영해 은행들이 수신금리를 인상하면서 예적금 선호도가 이전보다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최근 인플레이션이나 테이퍼링 등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자 주식이나 부동산 대신 안정적인 투자처를 찾는 심리가 강해졌다. 은행권으로의 자금 유입은 더욱 확대될 것이다”라고 진단했다.


신민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o63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