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CC, 화물운송 사업 진출…효과는 '글쎄'

글로벌이코노믹

LCC, 화물운송 사업 진출…효과는 '글쎄'

플라이강원,에어프레미아,티웨이항공 등 뛰어들었지만
대부분 벨리카고 방식 이용…화물량 적어 수익성 미미
티웨이 항공 여객기에 화물이 실리고 있다. 사진=티웨이항공이미지 확대보기
티웨이 항공 여객기에 화물이 실리고 있다. 사진=티웨이항공
국내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앞다투어 화물항공운송사업에 뛰어들고 있지만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LCC들은 지난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여파로 국제선 여객이 어려워지면서 잇따라 화물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티웨이항공이 베트남 호치민 노선을 시작으로 화물운송사업을 시작했다. B737-800 여객기 3대를 화물기로 전용해 기내 좌석에 원단·악세사리·전자 부품 등을 실어날랐다. 현재는 회사 사정으로 운항이 중단됐지만 추후 재개한다는 입장이다.

최근 국토교통부로부터 화물 운송 사업면허를 취득한 플라이강원도 화물운송사업에 나선다. 올해 6~7월부터 중형기 B737-800 여객기 2대를 활용해 국내 화물 운송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에어프레미아도 지난해 말 인천~싱가포르 노선을 시작으로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 항공기는 중형 B787-9를 활용한다.

하지만 대부분 LCC들이 항공기 동체하부의 화물적재가 가능한 벨리카고 방식을 사용해 수익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화물전용기가 아닌 이상 실을 수 있는 화물량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결국 운항편수가 중요한데 코로나 19로 해외로 가는 하늘길마저 닫힌 상황이다.

LCC는 운항노선이 다양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다. 대형 항공사가 벨라카고 방식으로 수익일 낼 수 있는 건 상시 운항할 수 있는 장거리 노선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LCC는 단거리 노선인 동남아시아에 의류와 액세서리와 같은 공산품 밖에 운송하지 못한다.

업계 관계자는 “LCC들이 앞다투어 화물 사업에 나서고 있지만 수익성이 미미해 보여주기식이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류으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frindb@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