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지대공 미사일 기지 건설에 베트남 순항 미사일 배치 소문…남중국해 주변국 긴장 고조

글로벌이코노믹

유통경제

공유
0

중국 지대공 미사일 기지 건설에 베트남 순항 미사일 배치 소문…남중국해 주변국 긴장 고조

사진은 중국의 광시좡족 자치구에 건설 중인 지대공 미사일 기지에 대응해 베트남이 인도에서 도입해 실전배치 계획을 세우고 있는 순항 미사일 ‘브라모스’의 모습.이미지 확대보기
사진은 중국의 광시좡족 자치구에 건설 중인 지대공 미사일 기지에 대응해 베트남이 인도에서 도입해 실전배치 계획을 세우고 있는 순항 미사일 ‘브라모스’의 모습.

남중국해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비정부기구(NGO)가 최근 중국이 베트남과의 국경 인근에 지대공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는 징후가 있다는 정보가 공개되면서, 위기감을 느낀 베트남이 이에 대한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다. 또 베트남 측에서도 중국에 대한 무력억지 효과를 염두에 둔 최첨단 미사일 구매 계획이 떠오르고 있어 중국 측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중국 광시좡족 자치구에 지대공 미사일 기지?

베트남 온라인 매체 ‘VN익스프레스’의 4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이 베트남 국경에서 약 20km에 있는 광시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 닝밍현(寧明県)에 지대공 미사일 기지를 건설하고 있는 징후가 있다고 비정부기구(NGO)가 위성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 이 NGO는 ‘더 사우스 차이나 시 뉴스’를 통해 남중국해 문제에 관한 정보 발신을 계속하고 있다.

위성사진에는 기지 외에도 군사용 활주로를 따라 최소 6기의 미사일 발사장치와 레이더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 데이터에 의하면 중국 측은 2019년 6월에 미사일 기지의 건설에 착수했다고 한다. NGO는 ‘현시점에서는 미완성’이라고 하고 있다. 이 밖에 베트남 국경에서 약 60km 떨어진 곳에도 헬기장일 것으로 보이는 구조물이 건설되고 있다는 NGO가 분석하고 있다. 베트남 외무성 대변인은 VN익스프레스와의 기자회견에서 “이 정보의 신빙성을 조사할 것”이라고 말하며 중국에 확인을 요구했다.

그렇다면 전문가들은 중국 측의 의도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미국 ‘대니얼 게이 이노우에 아태안보연구센터’ 알렉산더 뷰빈 교수는 미국의 소리(VOA)와의 인터뷰에서 “이는 중국이 국경전쟁 준비를 하고 있다는 신호다. 그것은 오늘이나 내일의 이야기가 아니라 장기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싱가포르 난양 이공대 가오루이롄(高瑞連) 군사전문가는 VOA에 베트남 국영 석유 가스 그룹이 현재 (중국이 영유권과 해양 권익을 주장) 남중국해에서의 새로운 천연가스 탐사 계획을 제안하고 있으며, 닝밍현(寧明県)에 건설하고 있는 미사일 기지는 이 계획에 대한 ‘중국으로부터의 경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 이에 맞선 베트남 ‘브라모스’ 미사일 배치 소문

한편, 중국 측은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환구시보’가 8일자 기사로, 베트남 측의 보도를 전함과 동시에, 중국이 경계하는 베트남의 초음속 순항 미사일 ‘브라모스’ 배치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브라모스’는 인도와 러시아가 공동 개발한 것으로 육해공과 잠수함 어느 방식으로도 발사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미사일로 꼽힌다. 최대 300kg의 재래식 탄두와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으며, 음속의 3배 이상으로 비행해 정밀하게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도는 중국의 미사일 방어체계로는 요격할 수 없으며 중국의 항모를 포함한 대부분의 해상 목표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인도의 모디 정권은 2014년 중국에 대한 대응조치로 ‘브라모스’를 베트남에 공급하기 위한 협의를 개시하고, 동시에 ‘브라모스’ 제조업체에 증산을 지시했다고도 보도된 바 있다. 이에 중국이 맹반발하며 ‘브라모스’ 공급은 ‘레드 라인’(넘어서는 안 될 선)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며, 제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브라모스’ 공급에 대한 정보는 최근엔 더는 나오고 있지 않다. 다만 중국과 인도, 베트남 양국 관계가 긴장되고 있어 지난해 12월 열린 모디 총리와 응엔 쑤언 푹 베트남 총리의 화상 회담에서 중국에 대항하는 수단으로서의 ‘브라모스’에 대한 언급이 있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 중국 남중국해서 잇따라 주변국 자극 행보

중국은 남중국해 대부분에서 해양 권익을 주장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아들이지 않고 엄청난 양의 토사로 인공섬을 만들고 군사기지를 건설해왔다. 이 때문에 해양 권익이 부딪치는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각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해에도 인도네시아 배타적경제수역(EEZ)에 중국 해경국 무장선이 어선을 이끌고 침입했다. 이와 함께 중국과 베트남 양측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파라셀 제도 인근에서 중국 감시선이 베트남 어선과 충돌해 어선이 침몰하기도 했다, 또 필리핀 영해 내에서 중국 해군 함정의 필리핀 해군함선 레이저 조사 등 다양한 사안이 발생하면서 그 처리에 관한 중국의 강경 자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한편, 중국은 ASEAN 안에서 남중국해에 권익을 가지지 않는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에 대해서는 ‘마스크 외교’를 전개해, 자국 측에 끌어들이려고 열심이다. 영유권으로 대립하는 필리핀이나 말레이시아도, 중국에의 경계감을 안으면서 경제 관계의 강화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베트남은 중국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ASEAN 의장국으로 있을 때 같은 해 6월 온라인에서 열린 ASEAN 정상회의를 주도해 중국을 겨냥해 신종 코로나 사태 와중에 국제법에 어긋나는 무책임한 행동이 있었다고 비판했고, 의장성명에도 ASEAN 전체의 의사로 최근의 사건에 대한 우려를 포함시켰다.

남양 이공대 S. 라자라트남 국제연구원의 장자쑹(張嘉松) 교수는 VOA에 “베트남은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우선해 군사 문제를 곁에 둘 나라가 아니다”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필리핀이나 말레이시아가 중국으로부터의 투자를 배려해 대 중국 압력에 대한 동조를 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에 반해 베트남에 대해서는 “주장을 관철하는 유일한 나라. 이 나라의 최대 관심사는 안전보장”이라는 게 장자쑹 교수의 견해다.


김경수 글로벌이코노믹 편집위원 ggs07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