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쉽스토리] 현대삼호重, 국내최초 LNG추진 외항선 건조

공유
5

[G-쉽스토리] 현대삼호重, 국내최초 LNG추진 외항선 건조

신조선에 환경규제 준수, 혁신적인 연료공급방식 등 첨단 기술 적용돼

현대삼호중공업이 건조한 LNG연료추진 외항선 HL 에코호가 정박해 있다. 사진=해양수산부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삼호중공업이 건조한 LNG연료추진 외항선 HL 에코호가 정박해 있다. 사진=해양수산부
현대삼호중공업이 11일 국내 최초로 건조된 액화천연가스(LNG) 추진 외항선 명명식을 갖는다. 정부가 2018년 마련한 ‘LNG 추진선박 연관 산업 활성화 방안’의 첫 LNG추진 외항선 건조인 만큼 행정부처의 대표, 각 사의 대표이사 등이 행사에 참가한다.

이번 명명식에는 정세균 국무총리 내외, 문성혁 해양수산부(해수부) 장관, 김영록 전남도지사를 비롯해 김형관 현대삼호중공업 대표이사, 서명득 에이치라인해운 대표이사, 장인화 포스코 대표이사 등 정부 관계자와 조선·해운 관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지침을 준수하며 참석할 예정이다.
명명식은 선박의 이름을 붙여주는 행사로, 대모가 선박에 연결된 줄을 끊으며 항해를 기원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이번 명명식에서 HL 에코(ECO)호 대모 역할은 정 국무총리 부인인 최혜경 여사가, HL 그린(GREEN)호 대모 역할은 에이치라인해운에서 근무하는 유예림 3등 기관사가 맡을 예정이다.

◇ 신조선, 환경규제 준수·혁신적인 연료공급방식·국산화 등 장점 결집


이번에 건조된 선박은 에이치라인해운이 2018년 10월 현대삼호중공업에 2척을 발주해 건조가 시작됐다.

이 선박들은 세계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를 준수할 수 있게 건조됐다. IMO환경규제는 선박 연료의 황산화물 함유량을 기존 3.5%이하에서 0.5%이하로 유지해야하는 제도를 뜻한다.

정부는 선령 20년 이상의 노후 외항선을 LNG 등 친환경 선박으로 대체 건조 시 선박 가격의 10% 내에서 지원하고 있다. 에이치라인해운이 LNG추진선을 발주 했을 당시, 1척당 약 48억원의 보조금이 지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조된 선박은 18만t 급 광물운반선(VLOC)으로 길이 292m, 너비 45m로 건조됐으며 평균속력 14.5노트(약 26.9km/h)로 운항이 가능하다. 또 LNG를 연료로 사용해, 기존에 사용하던 연료인 벙커C유 대비 황산화물 99%, 질소산화물 85% 절감이 가능하며 연료효율은 30% 이상 높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이다.

이 선박들의 연료공급 방식은 혁신적으로 이뤄진다. 육상에서 차량을 통해 LNG를 공급받는 기존의 ‘트럭 투 십(TTS)’ 방식이 아닌 선박을 통해 연료를 주입하는 ‘십 투 십(STS)'방식을 국내 최초로 활용하게 된다.

국내 최초 LNG추진 외항선은 한국~호주 구간에서 철광석과 석탄을 운반하게 된다. 사진=해양수산부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최초 LNG추진 외항선은 한국~호주 구간에서 철광석과 석탄을 운반하게 된다. 사진=해양수산부

한국가스공사의 ‘제주2호선’을 통해 LNG 연료를 공급받으면서 2021년부터 한국과 호주를 오가며 연 200만 t의 철광석과 석탄을 운반할 예정이다.

이번 선박 건조는 순수 국내기술로 제작해 87%에 머물던 기존 국산화 수준을 97%까지 높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LNG추진선 건조에 필요한 LNG연료탱크, LNG연료공급 시스템 등의 기술이 대부분 국산화 된 것이다.

◇ 정부의 LNG추진선 지원 착실히 진행돼


이번에 건조된 선박은 정부가 2018년 마련한 ‘LNG 추진선박 연관 산업 활성화 방안’에 따라 지급된 친환경 선박전환 보조금 약 97억 원을 지원받아 건조됐다.

정부는 국제 해양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LNG추진선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LNG추진선 연관 산업 활성화 방안’에 따라 친환경 선박전환 건조보조금을 지원하고, LNG벙커링(급유) 인프라 구축, 연안 LNG벙커링 선박 건조 등을 추진하고 있다.

게다가 올해 초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과 보급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본계획을 수립해 LNG추진선 관련 기술을 고도화 하는 한편, 무탄소 선박 기술개발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