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총선' 검색·댓글 관리 강화…달라진 온라인 선거판 풍경들

글로벌이코노믹

ICT

공유
0

'총선' 검색·댓글 관리 강화…달라진 온라인 선거판 풍경들

포털, 댓글 이력 공개·실검 폐지 등 총선 앞두고 서비스 제동
십알단·드루킹 등 정치권 연관 논란 대응…표현의 자유 우려도

포털사이트 다음 내 인물 관련 검색어와 실시간 이슈 검색어 폐지 이미지. 사진=카카오이미지 확대보기
포털사이트 다음 내 인물 관련 검색어와 실시간 이슈 검색어 폐지 이미지. 사진=카카오
네이버 댓글 이력 확인 창. 출처=네이버 뉴스 댓글 갈무리이미지 확대보기
네이버 댓글 이력 확인 창. 출처=네이버 뉴스 댓글 갈무리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사이트가 오는 4월 15일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 기간을 앞두고 실시간 검색어와 댓글 기능 관리에 나섰다. 수 차례 불거진 정치권에서의 실시간 검색어, 댓글 조작과의 연관성을 아예 차단하겠다는 조치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지난 19일부터 네이버 뉴스 댓글 작성자의 닉네임, 활동 이력, 프로필 사진을 공개하고 있다. 이전엔 작성자가 댓글 이력의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었지만, 이젠 무조건 공개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작성자의 닉네임과 활동 시기, 작성한 댓글 수와 받은 공감 수, 본인 삭제율 등도 공개된다. 이에 대해 네이버 측은 "익명성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댓글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고자 했다"는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앞서 네이버는 본격적인 총선 선거 기간인 4월 2일부터 투표 마감 시간인 15일 오후 6시까지 네이버 포털 내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운영을 중단, 선거 공정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차단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조치에 대한 효과는 즉각적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데이터랩 통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네이버가 댓글 이력 무조건 공개 조치를 발표한 직후 정치 뉴스에 달린 댓글 수는 총 15만 696건으로, 전 주인 12일 26만 8718건 보다 44% 감소했으며, 최근 한 달 새 가장 적은 댓글 수를 기록했다.

같은 날 정치 뉴스 댓글엔 15만 696건의 댓글이 달렸다. 또 댓글 이력 공개일 하루 전인 18일 당일 삭제된 댓글 수는 전체 댓글의 14.5%를 차지, 평소 대비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 비율은 당일 작성된 댓글의 당일 삭제 건수로, 과거 댓글 삭제 건수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평소 10~12% 수준의 비율보다 2% 이상 높은 비율을 보였다는 점에서는 댓글 이력 공개 관련 언론 보도 직후 스스로 댓글을 삭제하는 자정 작용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네이버에 앞서 카카오는 이미 지난달 20일부터 포털사이트 다음과 카카오 #탭 내 서비스 중이던 실시간 검색어 기능을 완전 폐지한 상황이다. 카카오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지난해부터 연예뉴스 댓글 폐지, 인물 관련 검색어 서비스 폐지 등을 이행해왔다. 지난달 26일엔 댓글 서비스를 개편해 신고 기능을 강화하고 이용자 보호를 위한 댓글 '덮어두기' 기능을 마련했다.

아울러 네이버와 카카오는 공직선거법 82조 6항에 따라 공식 선거운동 기간인 다음달 2일부터 14일 자정까지 실명 인증한 이용자만 댓글 작성 권한을 부여한다.

양대 포털의 이 같은 조치는 정치권에서의 온라인 뉴스 댓글, 실시간 검색어를 통한 여론 조작·개입 논란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MB정부의 국정원 댓글 조작 사건부터 2012년 박근혜 전 대통령과 관련된 '십알단', 2018년 '드루킹 사건' 등 최근 정권 마다 포털 댓글과 연관한 여론 조작 사건들이 연이어 일어났다. 게다가 지난해에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과정에서 찬반 세력들이 실시간 검색어 순위를 놓고 대결을 벌여 '정치적 이용' 논란이 크게 일었다. 지난해 국회는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실시간 검색어나 댓글 조작을 막아야 한다는 ‘실검법’을 발의하기도 했다. 포털들이 내놓은 댓글·실검 이용 제한책은 이런 정치권 관련 논란을 이전보단 확실히 줄여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다만, 포털의 이 표현의 자유가 축소된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송경재 경희대학교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선거 기간이라도 정치적 표현 부분은 확대돼야 정치적 관심이나 투표율이 향상될 것”이라면서 “악플, 매크로 등 부정적 측면만 강조돼 서비스 자체를 막는다는 것은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송 교수는 “소통 창구인 서비스를 아예 막아버리는 것보단 IT 기술 도입을 통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각 정당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한 대면 접촉 행사를 줄이되, 온라인 홍보 강화에 주력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등 정당 온라인 홍보부서 관계자들은 "(대·총선보다) 비대면 홍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면서 "법적 허용 범위를 지키는 선에선 온라인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