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시간)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투자에 앞서 가상자산이 가진 담보가치를 따져봤어야 하나 그렇지 않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가상자산의 담보 가치는 공기뿐이고, 가상자산의 가치 역시 0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국내 전문가들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가치를 지속해서 만들고 있다는 근거에서 이를 과한 표현으로 진단했다. 전 세계적으로 매스어돕션(Mass adoption, 대중화)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이 창출되고 있다는 점도 이 같은 진단을 근거한다.
WSJ의 이 같은 전망은 최근 발생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FTX의 파산 사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FTX가 자체 발행한 가상자산인 'FTT'를 기반으로 과도한 대출과 투자를 진행하다 결국 파산에 이르러서다. 실제 100억달러까지 올랐던 FTT의 가치는 유동성 논란과 동시에 약 80% 급락했다. 현재 FTT의 가치는 4억달러다.
이밖에 향후 가상자산의 가치는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달렸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강수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sj8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