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술에 취해 아무 이유 없이 문을 두드리고 욕설을 퍼붓거나 상대방이 원치 않음에도 거듭 집으로 찾아가 만남을 시도하는 등, 주거지를 위협하는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집 현관문 우유 투입구를 열고 타인의 집안을 들여다봤던 남성이 CCTV에 포착돼 경찰에 체포된 사건도 있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주거침입 범죄는 지난 2016년 1만1631건에서 2021년 1만8440건으로 약 59% 증가했다. 스토킹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데이트 폭력 검거자 역시 지난해 1만2841명으로 전년 1만554명 대비 21.7% 증가했으며 8년 전인 2014년 6,675명 대비 무려 92.4%가 늘었다.
SK쉴더스는 이 같은 주거지 위협 범죄를 예방하고 지역 주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전국 지자체들과 손잡고 자사의 스마트 홈 보안 서비스인 ‘캡스홈’을 지원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캡스홈 지원사업은 해당 지자체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1인 가구와 한부모 가구, 스토킹·데이트 폭력 피해자 등 안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각 가구마다 현관문 AI CCTV, SOS 비상 버튼 등 홈 보안 제품 ‘캡스홈’ 설치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SK쉴더스는 지난 2월 부산진구청과 함께 여성 1인 가구 및 한부모 가구를 대상으로 캡스홈을 지원하는 ‘1인 가구 스마트안심홈케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지난달부터 서울 강북구, 강북경찰서와 민관경 협력체계를 구축해 스토킹·데이트폭력 피해를 입은 강북구민에게 캡스홈을 지원하고 있다.
이 밖에도 광주 서구, 인천 남동구 등과도 캡스홈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지역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해 앞장서고 있다.
이에 앞서 SK쉴더스는 2021년부터 안전 도어지킴이 사업을 통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1인 가구 3000명에게 '캡스홈' 설치를 지원했으며 지난해까지 강남구·광진구·동대문구·노원구·서대문구·마포구· 금천구·영등포구 구민들을 대상으로 지원을 이어왔다.
캡스홈을 사용할 경우 현관문에 부착된 AI CCTV와 모바일 앱 연동으로 현관문 앞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가족 이외의 낯선 배회자가 탐지될 경우 실시간으로 알림 메시지도 받을 수 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 시 최단 거리에 있는 SK쉴더스 출동대원이 현장으로 출동해 각종 위협에 대한 걱정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캡스홈 모바일 앱에 여성가족부가 제공하는 '성범죄자 알림e 모바일 웹'을 연동할 수 있어 거주지 주변의 위험 요인들을 손쉽게 확인하고 대비할 수 있다.
SK쉴더스는 연내 대전 중구청·대전 동구청·나주시청 등 지자체를 비롯해 시도경찰청과도 업무협약을 체결하면서 ‘캡스홈’ 지원 사업을 보다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에 앞장서며 ESG경영을 실천해왔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서울시 안심마을보안관’ 프로젝트의 메인 사업자로 선정되어 심야시간대 안전에 취약한 자치구 안심마을 구역을 순찰하는 보안관을 선발, 운영하는 등 1인 가구를 위한 안전한 주거 환경을 조성한 바 있다.
김민호 SK쉴더스 스마트홈보안사업그룹장은 “최근 주거지를 위협하는 생활 밀착형 범죄가 급증하고 있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캡스홈을 지원하게 됐다”며 “앞으로 전국 지자체들과 협력하여 우리 사회에 안전과 안심의 가치를 전달하는 사업에 적극 참여하며 ESG 경영 실천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김태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d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