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카카오톡, 메신저 넘어 커뮤니티 서비스로 진화한다

오픈링크 통한 소통 서비스 제공…메타버스도 개발 중
7일 카카오가 자사의 메타버스 서비스인 '카카오 유니버스'의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가운데 남궁훈 카카오 대표가. '카카오 유니버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카카오이미지 확대보기
7일 카카오가 자사의 메타버스 서비스인 '카카오 유니버스'의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가운데 남궁훈 카카오 대표가. '카카오 유니버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카카오
카카오톡이 기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벗어나 1인 미디어와 커뮤니티 서비스로 진화한다. 카카오는 이를 포함해 자사의 다양한 서비스를 메타버스로 연결한다. 남궁훈 카카오 대표는 7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카카오 유니버스'를 공개했다.

'카카오 유니버스'는 관심사 중심으로 비지인간 소통을 연결하는 '오픈링크'를 선보이고, 카카오톡의 비목적성 커뮤니케이션 역할 확장, 창작자와 이용자간 B2C2C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카카오 공동체간 협업을 바탕으로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넘어 가상현실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메타버스 환경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는 '카카오 유니버스'를 위한 '오픈링크'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오픈링크는 취미, 장소, 인물 등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이용자들이 모여 소통하고 즐길 수 있는 서비스로, 카카오톡 오픈채팅 기반으로 제공된다.

카카오 서비스뿐 아니라 카카오 공동체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에도 오픈링크와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해 해당 서비스의 이용자들이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카카오는 오픈링크 서비스를 활용해 지인 기반 소통을 넘어 비지인 간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간다. 국내 이용자 대상으로 내년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서비스들과 연계해 전세계 사람들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소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이용자들이 지인 간의 소통이라는 메신저 본연의 목적 외에도 카카오톡 안에서 다양한 즐길 거리를 찾고 재미와 여유를 느낄 수 있도록 비목적성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추가해 카카오 유니버스를 활성해 나갈 예정이다.

또 카카오 유니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용자 간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B2C2C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제작한 콘텐츠로 경제활동이 가능해지도록 서비스 전반에 수익 모델을 강화한다. 이를 통해 오픈채팅방 방장은 구독모델을 적용해 정보 제공에 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브런치에 글을 쓰는 창작자도 콘텐츠로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카카오브레인은 'KoGPT'와 '칼로(Karlo)'등 초거대 AI 모델들을 2가지 기능을 준비하고 있다.

'상호작용형 AI'는 얼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페이스 리타겟팅' 및 또 다른 자아를 구현할 수 있는 '뉴럴 렌더링'을 활용해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들고 멀티 페르소나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활용하면 사진 한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3D 캐릭터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멀티 페르소나를 표현할 수 있고, 오픈채팅 또는 영상 통화에서 비지인들과 역할 놀이를 하는 등 색다른 소통이 가능하다.

'대화형 AI'는 가상 인물과 콘텐츠를 기반으로 친구처럼 대화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인기 웹툰을 데이터로 주인공의 성격과 가치관, 말투, 뉘앙스를 지닌 AI를 만들고, 웹툰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식이다. 카카오브레인이 준비 중인 기능은 추후 카카오 서비스에 적용될 예정이다.

카카오 계열사인 '넵튠'의 경우 지난해 투자한 메타버스 개발사인 '컬러버스'와 함께 3D 가상공간 기술을 활용한 오픈형 메타버스 플랫폼을 선보일 예정이다. 컬러버스는 모바일과 온라인 생태계를 넘나들며 누구나 쉽게 들어오고, 즐기고, 창조하는 메타버스 공간이다.

카카오 남궁훈 대표는 “카카오는 하나의 서비스나 플랫폼이 아니라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용자들이 서로 연결되고, 의미있는 관계를 만들도록 지원하고자 한다”이라며, “‘카카오 유니버스'가 활성화되어 전세계인을 관심사 기반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면 장기적으로 ‘비욘드 코리아'라는 비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