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내연기관차 금지하던 EU…'합성연료 차량' 허용, 왜?

공유
4

[초점] 내연기관차 금지하던 EU…'합성연료 차량' 허용, 왜?

유럽연합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금지를 추진했지만 합성연료 차량은 예외로 판매를 허용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유럽연합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금지를 추진했지만 합성연료 차량은 예외로 판매를 허용했다. 사진=로이터
유럽연합(EU)이 2035년 이후 내연기관 차량 판매 금지를 철회했다. 자동차 강국 독일의 반대에 따라 이제 유럽에서 합성연료 e퓨얼(e-Fuel)을 사용하는 내연기관 차량은 예외로 판매가 가능하다.

EU규정에 따라 2035년부터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는 CO₂배출량이 제로(0)여야 한다. 화석연료로 구동되는 내연기관 신차 판매는 사실상 금지됐다.
하지만 합성연료인 e퓨얼은 이산화탄소(CO2)를 원료로 하기 때문에 연소할 때 나오는 CO₂를 대부분 상쇄할 수 있다. 합성연료는 아직 개발 중인 기술로 상용화를 위한 과제도 많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합성연료 e퓨얼의 장점


니혼게이자이 신문에 따르면 합성연료 차량은 휘발유차나 디젤차의 기술과 주유소 등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e퓨얼을 사용하면 내연기관 차량을 포함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다. e퓨얼은 기존 휘발유 및 경유와 유사해 전기 자동차처럼 새로운 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기존 화석 연료 물류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어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와 휘발유·경유를 유통하는 회사에겐 반가운 소식이다.

독일, 일본 등 내연기관차 공급망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인력과 공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기대도 크다.

합성연료는 수소와 탄소를 화학 반응 시켜서 만든다. 먼저 재생에너지에서 얻은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한다. 이를 이산화탄소와 합성해 휘발유나 경유 등과 같은 성분으로 만드는 것이다.

합성연료는 엔진으로 사용할 경우 이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NOx)을 배출한다. 그러나 배출량은 연료를 생산하기 위해 대기에서 배출되는 양과 같아 탄소중립적으로 간주된다.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고 전기차만 판매한다고 해도 시중의 자동차 대부분이 내연기관차기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하지만 합성연료를 사용하면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다.

일본 전국석유상업조합연합회에 따르면 일본에서 판매되는 휘발유에 합성연료 5%를 혼합하면 전기차 약 300만 대를 새로 도입하는 것과 같은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가 발생한다.

합성연료의 상용화


대부분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옮겨가고 있다.

아직 합성 연료 상용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세계 각지에서는 합성연료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시작되고 있으며 이미 유럽과 일본에서는 e퓨얼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전기를 사용하기 어려운 운송사업에서는 이미 합성연료를 시범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KLM 네덜란드 항공은 지난 2021년 합성연료를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첫 항공편을 운행했다.

독일 포르쉐는 지난 해 12월 칠레에서 합성 연료 공장을 가동해 e퓨얼 생산에 돌입했다.

포르쉐는 우선 생산된 합성연료를 모터스포츠 이벤트 등에 사용하며 2025년까지 연간 5500만 리터, 2027년부터는 5억5000만 리터를 생산할 계획이다.

포르쉐측은 휘발유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90%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포르쉐는 e퓨얼 생산업체 HIF 글로벌에 7500만 달러(약 977억원)를 투자했다. HIF 글로벌의 지분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MW는 전기 연료 스타트업 프로메테우스 퓨얼스에 1250만 달러(약 162억8750만 원)를 투자했다.

최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독일의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보쉬, ZF, 마일레는 합성연료 보급을 목표로 하는 독일 로비단체 e퓨얼 얼라이언스에 주요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에는 미국 석유회사 엑손모빌, 스페인 석유회사 렙솔도 포함됐다. 독일 포르쉐와 일본 마쓰다도 합성연료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합성연료 보급을 원하는 기업들이 대부분 석유회사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게릿 마크스 이베코 최고 경영자(CEO)는 "합성연료는 포르쉐와 페라리 운전자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지만 유럽이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방법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누가 최고의 합성연료 제조업체가 되고싶어 하는지 맞춰보라. 바로 사우디 아라비아다"라고 강조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회사 사우디 아람코도 스페인 석유 및 가스 대기업 렙솔과 함께 합성연료 개발에 나섰다. 합성연료의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도 많다.

일본에서는 일본 1위 석유업체 에네오스 홀딩스가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의 프로젝트에 참여해 합성연료를 개발중이다.

합성연료 보급의 문제점


합성연료 보급의 가장 큰 과제는 가격이다. 포르쉐는 2021년 당시 공장 가동 초기 생산 비용을 1리터당 10달러(약 1만3030원)로 예상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이산화탄소 회수 기술의 발전과 재생에너지 가격이 하락하면서 비용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본격적인 합성연료 양산이 시작되더라도 휘발유보다 비쌀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 비영리단체는 2030년까지 1리터의 합성연료를 생산하는데 약 3~4달러(약 4000~5212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계산했다.

이산화탄소 회수 및 합성 기술도 비용 절감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있다.

2021년에 발표된 네이처 기후 변화 저널의 논문에 따르면 수소를 제조하거나 합성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합성연료를 사용하려면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는 것 보다 약 5배 많은 전기가 필요하다.

생산량 문제도 있다. 합성연료 생산에 필요한 수소는 다른 분야에서도 수요가 많아 생산량 문제가 발생한다. 자동차용 휘발유 수요를 완전히 충족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노훈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unjuro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