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잠재성장률 2.2%로 하락 전망…리세션 현실화 땐 더 악화 가능성도

WB는 27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에 의한 영향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보고서는 금세기를 빠른 속도의 성장궤도로 출발한 세계경제가 인플레를 불러일으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장기 성장률이 상한에 상당하는 제한속도가 2022~2030년에 2.2%로 떨어질 전망이라고 지적했다.
WB의 수석이코노미스트 인더밋 길은 “세계경제로서는 잃어버린 10년이 될 수 있다”면서 “뿌리깊은 빈곤과 소득괴리, 기후변화라는 시대특유의 시련이 확대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잠재성장률 저하는 이같은 시련에 대한 세계적인 대응능력에 심각한 영항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WB는 세계경제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경제를 재개하는 대응에도 여전히 흔들리고 있으며 취약한 상황에 있다고 진단했다.
WB는 세계적인 금융위기 혹은 리세션(경기후퇴)가 현실로 나타날 경우 잠재성장률은 더욱 낮아져 상황이 더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