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값, 달러약세 등에 급등세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4월물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2.36%(1.61달러) 하락한 배럴당 66.7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는 2021년 12월 3일 이후 최저치를 경신했다. WTI 가격은 한 주간 12.96% 하락해 2020년 4월 17일로 끝난 주간 이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WTI의 2주간 하락률은 16.24%에 달한다.
북해산 브렌트유 5월물은 전장보다 2.66%(1.99달러) 내린 배럴당 72.71달러에 거래됐다. 브렌트유도 지난 10일간 15%가량 하락했다.
유럽의 크레디트스위스(CS)은행은 물론 미국의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에 대한 우려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어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악화하며 주가와 함께 원유가격도 동반 하락했다.
은행권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경기가 악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 연초부터 중앙은행들의 공격적 금리 인상으로 경기가 하반기에 침체에 진입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은행의 타격은 경기 전반을 더욱 얼어붙게 만들 수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의 더그 레그게이트 애널리스트는 "저금리의 자금이 금융권을 휘젓고 있는 것처럼 투기적 상품 포지션을 보유하기 위한 비용이 커지면서 단기물 원유 옵션 상품이 거의 13% 폭락했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지난 3개 분기 동안 1억2000만 배럴의 원유가 저장소에 쌓였다며 원유 재고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유가 하락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JP모건의 애널리스트들도 글로벌 원유 재고가 4600만배럴 추가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원유 시장이 두 달간 공급 과잉으로 5월까지 펀더멘털상의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국제금값은 달러약세 등에 다시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금가격은 3.14%(60.45달러) 오른 온스당 1983.45달러에 거래됐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