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정부, 수출에 10% 세금 추진…현지업계 "광산폐쇄" 극력 반발
이미지 확대보기1일(한국 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필리핀 정부는 니켈 수출에 최대 10%의 세금을 매길 예정이다. 현지 니켈 광산 업계는 이 같은 정부의 방침에 반발해 광산 폐쇄라는 초 강수로 맞서고 있다.
필리핀 니켈광산협회 단테 브라보 회장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는 처음부터 10%의 세금을 매기려 들었다. 이는 필리핀 니켈 산업을 망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브라보 회장은 “(필리핀)정부가 업계의 사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현장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밝힌 2021년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은 연간 총 37만 톤의 니켈을 생산했다. 이는 인도네시아(100만 톤)에 이은 세계 2위에 해당된다. 이들 두 국가는 전 세계 나켈 생산량(270만 톤)의 50.7%를 차지하고 있다. 3위는 25만 톤의 러시아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 주도의 리튬 인산철(LFP) 배터리와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중이어서 니켈 가격의 상승은 배터리 원가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지난 달 30일 기준 니켈 가격은 톤당 2만9535달러로 전년 평균 대비 15% 올랐다. 니켈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원료다. 양극재에 들어가는 니켈 함량이 높을수록 주행 거리와 에너지 밀도가 개선된다.
필리핀 환경 및 천연 자원부 장관 안토니오 로이자가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가공하지 않은 니켈 수출에 대해 진보적인 시각을 포함한 다양한 조치가 있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필리핀의 이 같은 조치는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인 동시에 매장량 1위 국가인 인도네시아의 방침을 추종하는 것이어서 압박감을 더하고 있다. 하지만 필리핀 정부 당국자는 이 부문 세계 1위인 인도네시아와의 직접 비교에는 일정한 선을 긋고 있다.
한 중국 무역 업체 대표는 "필리핀에서 공급되는 광석의 대부분을 감안할 때 수출세는 중국 생산자들에게 더 높은 비용을 초래할 것이다. 세금 안이 승인되더라도 세금이 발효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일만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exan509@g-enews.com























![[실리콘 디코드] "글로벌 톱5도 꼼짝 못한다"…반도체 '소재의 소...](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211014809049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