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美, 경기 침체 진입 논란 가열...2분기 GDP -0.6%로 2개 분기 연속 역성장

공유
0

[초점] 美, 경기 침체 진입 논란 가열...2분기 GDP -0.6%로 2개 분기 연속 역성장

1분기에도 -1.6% 성장…노동 시장은 여전히 탄탄

올해 2분기에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6%로 확정돼
올해 2분기에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0.6%로 확정돼
미국 상무부는 29일(현지시간)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연율 마이너스 0.6%로 최종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지난 1분기에 마이너스 1.6% 성장률을 기록한 데 이어 2분기 연속 역성장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 내내 경제가 위축됐다는 것을 뜻한다. 통상적으로 2분기 연속으로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기술적 침체기’로 분류한다.

그렇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 정부는 미국이 침체기에 진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정치적으로 중립을 유지하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도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미국에서 경기 침체 진단을 내리는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아직 공식적인 견해를 밝히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 상당 기간 결정을 미룰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현재 경제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든 미국 경제가 성장의 동력을 갈수록 잃어가고 있는 흐름을 보인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별로 없다.

그러나 미국 경제가 올해 3분기에는 플러스 성장을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정보회사 팩트셋이 집계한 경제학자들의 3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연율 1.5%다.

미국이 경기 침체기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미국의 노동 시장 강세, 소비 증가, 제조업 활성화 등이 꼽힌다. 올해 2분기 소비 지출은 연율 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고, 올해 들어 미국에서는 매달 43만 8000개의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다. 실업률은 3.7%로 역사적으로 최저 수준이다.

미 노동부가 이날 발표한 지난주(9월 18∼24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1만 6000 건 급감한 19만 3000건으로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35만 건으로 2만 9000건 감소했다.

경기 침체를 평가하는 핵심 요소 중의 하나가 노동 시장이다. 경기가 없으면 기업은 직원을 해고하기 마련이고, 실업률이 올라가 사회 불안이 야기된다.

미국의 노동 시장은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여전히 활력을 유지하고 있다.
NBER은 2분기 연속 GDP 마이너스 성장을 해도 노동 시장, 소비 지출, 산업 생산, 비농업 분야 소득 등 8가지 주요 경제 지표를 종합해 경기 침체 여부를 평가한다. NBER은 지난 2001년에 성장률이 1분기 -1.3%, 2분기 2.5%, 3분기 -1.6%로 마이너스와 플러스를 오갔으나 경기 침체로 판정다.

미국이 올해 1, 2분기에 역성장했어도 노동 시장은 여전히 탄탄해 NBER이 쉽사리 경기 침체 판정을 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실업률의 현저한 상승이 없이는 경기 후퇴로 보기 어렵다는 게 NBER의 대체적 인식이다. 이 기관이 2차 대전 이후 12번에 걸쳐 경기 침체 판정을 내렸고, 이때 모두 실업률이 크게 올랐었다.

NBER은 경기 침체에 대한 공식적인 판정을 월가에 비해 턱없이 늦게 내린다. 대체로 실제 경기 침체가 나타난 지 1년 정도 지난 뒤에 이 위원회의 언론 발표문이 나오는 게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때에 따라 경기 침체가 온 지 몇 개월 뒤에 서둘러 판정을 하거나 2년 정도 지난 뒤에 발표문을 내기도 한다. 이 위원회는 한번 판정을 내리면 이를 번복하는 일이 없다.

NBER에서 경기 침체를 판정하는 곳은 ‘NBER 비즈니스 사이클 데이팅 위원회’이다. 현재 위원장은 로버트 홀 스탠퍼드대 경제학 교수(78세)가 맞고 있으며 6명의 남성, 2명의 여성 경제학자로 구성돼 있다.

이 위원회는 1978년 로널드 레이건 당시 대통령 시절에 만들어졌다. 이 위원회는 언제 회의를 소집하는지 공개하지 않는다. 경기 침체 판정을 내릴 때는 공식적인 언론 발표문만 낸다. 다고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