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미국채 보유량 10% 줄이고 금 보유 늘려

공유
1

중국, 미국채 보유량 10% 줄이고 금 보유 늘려

미국 제재로 자금조달 위기 대응위한 조치 분석

미국 달러화와 금괴.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달러화와 금괴. 사진=로이터
중국이 미국국채를 줄이고 금보유를 늘리는 등 보유중인 외화자산을 교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日本經濟新聞) 23일(현지시간) 중국은 러시아중앙은행의 해외자산 동결에 충격을 받아 달러의존에 대한 경계감을 높이면서 이같이 보유자산 비중을 바꾸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이에 따라 지난 7월 미국채 보유액은 지난해말보다 9% 줄였으며 8월 금수입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만 급속한 운용처의 다양화도 어려운 상황이어서 조세회피처 등에서 미국 국채의 일부를 ‘은익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국 재무부에 따르면 중국의 미국 국채보유액은 지난 7월말시점에 9700억 달러였다. 전달을 약간 넘어섰지만 6월까지 7개월 연속으로 전달대비 감소했다. 미중 무역분쟁이 시작된 지나 2018년부터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올해 상반기에만 10% 가까운 1000억 달러를 줄였다.

반기기준으로 부면 2016년7~12월이래 5년반만의 최대 축소액이다. 대조적으로 대표적인 조세회피처인 케이만군도 보유의 미국 국채는 같은 기간 385억 달러 증가했다. 버뮤다제도도 70억 달러 늘어났다.

중국이 줄인 미국 국채 일보를 이관해 ‘은익 보유’를 늘렸을 가능성도 있다. 미국의 제재를 받아 미국 국채의 매각에 따른 자금조달이 어렵게 돼도 ’은익 보유‘라면 제재망을 뚫기 쉽기 때문이다.

직접적인 보유액의 감축과 관련해 중국의 금융당국 관계자는 “미국 금리상승에 동반한 손실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다만 시장동향에 비춘 동향 외에 러시아 중앙은행의 해외자산 동결도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중국정부 관계자는 “대러시아 제재가 굳혀진 지난 3월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로부터 배제보다 훨씬 타격이 크다”고 놀라워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정권은 대만의 무력통일도 불사할 태세다. 대만 유사시에 미국, 유럽과 일본이 금융제재에 나서면 3조달러를 넘는 외화준비의 대부분이 동결돼 경제에의 타격은 헤아릴 수 없다.

중국의 외화준비는 2016년 시점에서 59%가 달러자산이었다. 달러자산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미국 국채를 줄이는 것은 무역결제 등에서 이전보다 달러에 의존하지 않게 되는 점도 있다.

러시아는 중국과의 무력을 중심으로 위안화 결제를 확대하고 있다. 러시아국영 가스프롬은 지난 6일 중국에 대한 천연가스 수출에 있어서 결제통화를 기존의 달러등에서 루블과 위안화로 대체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최대은행 스베르방크는 위안화표시 대출를 개시했다.

SWIFT가 조사한 중국 대륙 이외의 위안화 결제 비율을 보면 러시아는 7월 시점에서 홍콩과 영국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중국에게 달러를 매개하지 않고 러시아에서 화석연료를 조달할 수 있는 이점은 크다.

달러 자산의 대체 후보 중 하나가 금이다. 중국 세관총서에 따르면 8월 금수입액은 103억5800만달러로 지난해의 2.3배로 급증했다. 중국 통계로 보면 2017년 이후 최대치다.

어떤 통화와도 교환할 수 있는 금은 ’무국적 통화‘라고 볼 수 있고 환금하기 쉬운 이점도 있다. 러시아와 터키 등 미국과 거리를 두고 있는 국가들도 미국채를 줄여 금 보유를 늘렸다.

중국의 외화준비자산에 포함된 금 보유량은 2019년 9월말부터 올 8월말까지 약 1950톤으로 변함이 없다. 금은 장식품 외에 공업과 의료 수요도 있지만 경기정체로 수요감소 추세다. 하지만 중국 국유은행 등이 보유하면서 외화준비 이외의 형태로 '안전자산'인 금을 늘리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중국 재정부과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4월 국내외 은행 간부들을 불러 회의를 열었다. 외화준비의 달러 의존을 재검토하고 엔화와 유로화에 대한 분산투자를 확충할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서다. 관계자에 따르면 은행 간부의 반응은 “성급한 운용처의 다양화는 현실적이지 않다” 등으로 부정적이었다. 금융제재에 대항하는 왕도인 위안화의 국제화도 반쪽이다. 달러에 대한 대체 자산의 다양화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