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반도체 전쟁] 美, 中 누를 핵심기술 '반도체' 유지 전략 3가지

공유
2

[반도체 전쟁] 美, 中 누를 핵심기술 '반도체' 유지 전략 3가지

한국은 미국 주도의 '칩4동맹' 가입으로 과학기술을 우선시할 것인지, 아니면 최대 시장인 중국을 우선시할 것인지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은 미국 주도의 '칩4동맹' 가입으로 과학기술을 우선시할 것인지, 아니면 최대 시장인 중국을 우선시할 것인지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미국은 냉전에서 소련에 승리한 이후 처음으로 공산주의 국가인 중국에게 향후 경제력은 물론 군사력과 과학기술력에서도 패배해 패권을 잃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 갖게 되었다.

미국은 중국의 놀라운 국가주의 도전에 패배하지 않고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산업화, 정보화시대에 가장 중요한 기반이며 모든 분야 경쟁력의 원천인 과학기술에서 패배하지 않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에 과학기술 분야에 투자를 강화하고 자국 과학기술을 보호하는 데 최고 역점을 두기 시작했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과학기술 총아를 정보와 정보를 연결하고 저장하는 반도체 칩이라고 판단하고 이 기술을 유지하고 중국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로 했다.

모든 과학기술을 상호 연결하는 촉매 역할을 하는 반도체 칩에서 중국에게 경쟁력을 잃지 않으려고 결심했다. 미국은 고도로 분화된 반도체 칩 경쟁력을 중국에 빼앗기지 않기 위해 크게 3가지 전략을 마련했다.

첫째, 설계의 최고강자 미국과 소부장의 강자 일본, 최첨단 미세공정 제조분야의 절대강자 TSMC와 삼성전자 등을 연결하는 반도체 동맹을 맺는다. 이제 반도체 칩은 미국만으로는 우위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각 분야 최고의 동맹을 체결해 상호 혁신을 통해 선두를 유지한다.

둘째는 공급망의 확충이다. 코로나 혹은 전쟁, 천재지변 등으로 반도체 칩생산이 멈춰서 제때 칩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를 막기 위해 지정학적 위험이 적은 곳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더 건설한다. 미국에 추가 건설은 필수다.

이때 최첨단 제조공장은 철저히 친선국에게만 기회를 준다. 반도체 제조를 위한 소부장을 미국과 일본, 네덜란드에서 90%를 생산하는 독점 구조라서 친선국에게만 첨단 공장을 가동할 수 있는 소부장을 제공할 수 있다. 적성 국가에 최첨단 제조공장이 건설되는 것을 막는다.

특히, 최첨단 미세공정 챔피언인 TSMC는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고 초미세 공정 칩들이 항상 중국 무력 앞에 노출되어 있기에 대만이나 TSMC에 대한 안보를 지원하려고 한다. 유사시에 대비해 TSMC 초미세공정 공장을 미국 내에 둔다.
초미세 공정을 위해 필수 장비인 EUV 장비는 네덜란드가 독점하는 생태계이며, 이 장비 계발에 미국의 원천 기술이 들어가는 관계로 중국으로 EUV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셋째는 차세대 전자공학 기반의 구축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반도체 칩 동맹 참여국들이 독자 혹은 연합해 연구와 개발을 강화하고 초미세 공정은 물론 다음 단계 과학기술 개발, 실리콘의 물리적 한계 극복 및 새로운 반도체 칩 재료 개발, 다양한 시각을 가진 인적 자원 교류, 국제 반도체 칩 R&D 센터 설립, 과학ㆍ공학ㆍ화학ㆍ수학 관련 교육 강화 및 이민 확대, 칩 기술 보호 강화 등을 강력히 추진하는 것이다.

지금 미국이 전개하는 칩스법, 미국-일본-대만-한국을 연결하는 칩4 동맹은 이런 전략 아래서 착착 진행되는 것이다. 미국은 반도체 칩의 핵심 원천 기술을 장악하고 있다. 반도체 공급망 정점에서 기술과 정보를 독점하고 있다. 반도체 기술 진화에 동행하려면 미국과 단절해서는 미래가 없다.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시장이지만 핵심 원천 기술은 부족하다. 미국이 견제하지 않던 시절에 막대한 투자와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을 통해 어느 정도의 반도체 기술을 확보한 것은 사실이지만 초미세공정 성공이라는 질적 전환, 기술의 특이점에는 도달하지 못한 상태다.

미중패권 경쟁과 탈동조화로 한국은 지금 위기에 놓여 있다. 어느 한쪽을 선택할 것을 강요받고 있다. 선택의 기로에 있다. 당장은 시장이 중요한 것 같지만 과학기술이 더 중요하다. 최고의 기술을 보유하지 않으면 시장에서 도태된다. 한국이 갈 길은 정해져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