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노 자동차는 지난 3월 일본 내에서 판매한 차량용 엔진의 배출가스 및 연비와 관련해 정부에 조작된 자료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소형버스와 중대형 트럭 등에 탑재된 엔진 4개 기종에서 조작 사실이 드러났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3월 말 문제가 된 엔진을 탑재한 히노 자동차의 8개 차종에 대해 ‘형식 지정’ 취소 결정했다. 형식 지정은 자동차의 성능을 유지하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허가하는 조치로 1951년 이 제도가 시행된 이후 지정이 취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히노 자동차는 이에 따라 대형과 중형 트럭 등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다.
도요타는 히노 자동차의 지분 51%를 소유하고 있다. 히노 자동차는 리콜 비용 증가 등으로 2021회계연도(2021년 4월∼2022년 3월)에 사상 최대인 847억 엔(약 8,500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일본 정부는 2018년부터 마쓰다 모터, 스즈키 모터, 야마하 모터 등을 대상으로 엔진 배출가스와 연비 조작 조사를 했다. 스바루와 닛산 자동차도 관련 의혹을 받았다.
지난 2015년에 독일의 폭스바겐이 미국의 디젤 자동차에 비밀리에 연비 조작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것으로 드러나 커다란 파문이 일어난 이후에 이 문제가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주요 이슈로 등장했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