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특파원 시선] 미국·러시아 힘겨루기 분수령...3일 OPEC+ 원유 증산 합의하나

공유
1

[특파원 시선] 미국·러시아 힘겨루기 분수령...3일 OPEC+ 원유 증산 합의하나

OPEC+ 회의 결과, 원유 증산과 국제 유가의 결정적 계기될 듯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있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본부.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있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본부. 사진=로이터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8월 3일(현지시간) 장관급 회의를 통해 원유를 증산할지 결정한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가 고물가 사태에 직면해 국제 유가 안정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고, OPEC+의 원유 증산이 국제 경제계에서 초미의 관심사이다.

특히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MBS) 왕세자와 15일 만난 뒤 열린 회견에서 사우디가 원유 증산을 위한 추가 조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사우디는 이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관망하는 태도를 보였다. 사우디는 원유 증산 문제는 산유국 협의체인 ‘OPEC 플러스’에서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디는 OPEC 플러스의 실질적인 리더 국가이다.
이번 OPEC+ 회의는 회원국 간 사전 합의 없이 열린다. OPEC+는 원유 증산 또는 감산에 관해 회의가 열리기 전에 미리 합의한 상태에서 장관급 회의를 열어 이를 추인하는 과정을 거치는 사례가 많다. 이 기구는 1년 만에 처음으로 사전 합의 없이 장관급 회의를 한다고 외신이 전했다.

이번 회의는 원유 증산과 국제 유가 동향에서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미국의 압박이 OPEC+에 먹힐지, 아니면 러시아가 원유 증산을 막을지 결판이 난다.

바이든 대통령은 국제 유가와 미국 내 휘발윳값 하락을 위해 OPEC+의 리더 국가인 사우디에 증산 압력을 가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경제 제재를 받는 러시아가 국제 유가 하락을 위한 증산에 협조할 리 없다. 주요 산유국인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 속에서도 유가 상승으로 인해 원유 수출 대금으로 우크라이나 공격에 필요한 전비를 충당하고 있다.

OPEC+는 지난 6월 30일 회의에서 8월 석유 증산량을 6월 초 결정하루 64만 8,000배럴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 기구는 당시에 9월 이후 증산 정책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OPE+는 지난 6월 2일 회의에서 7∼8월 증산 목표를 기존 방침보다 50%가량 늘리기로 했었다.

문제는 OPEC+가 원유 증산에 합의해도 실질적인 증산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난 5월에 이 기구가 합의한 원유 생산량에 비해 실제로는 하루에 270만 배럴가량 덜 생산했다고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이 기구가 채우지 못한 목표량의 절반가량은 러시아의 원유 생산량이 그만큼 줄었기 때문이다. 러시아가 서방의 원유 금수 등 제재를 받고 있어 원유 생산량이 감소했다.

사우디아라비아도 지난 5월에 OPEC+의 원유 증산 할당량을 채우지 않았다. 사우디는 국제사회의 증산 요구에도 불구 애초 할당량에서 하루 12만 5,000배럴이 모자란 생산량을 유지하는 데 그쳤다.
국제 원유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려면 OPEC 회원국들이 하루에 3,05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해야 한다. 그러나 올해 6월에 13개 OPEC 회원국은 이보다 하루에 174만 배럴가량 덜 생산했다고 외신이 전했다.

러시아처럼 OPEC+ 회원국이 합의한 생산량을 채우지 못하면 그 쿼터를 다른 회원국에 넘겨주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번 회의에서 그런 방안에 관한 합의가 나올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외신이 전했다.

국제 석유 업계는 OPEC 플러스 회원국 중에서 원유 증산을 할 수 있는 나라는 사우디와 UAE 두 나라밖에 없다고 평가한다. 두 나라가 힘을 합하면 하루에 300만 배럴의 원유를 증산할 수 있다고 미국 언론이 전했다. 이는 글로벌 원유 생산량의 3%가량에 해당하고, 미국과 유럽연합 등의 러시아산 원유 금수로 인해 국제 석유 시장에서 줄어든 원유 공급 규모와 비슷하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